농협중앙회와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는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1일까지 2주간, 4박 5일 일정으로 청년농업인을 위한 ‘농산업 밸류체인 과정’을 공동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청년농업인들에게 단순한 생산자가 아닌 ‘가치 창출형 농업 비즈니스 리더’로 도약할 수 있는 성장 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
이번 교육은 기후변화, 고령화, 시장 불안정 등 농업 환경 변화 속에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꾀하는 청년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업 경영·유통·마케팅·금융을 아우르는 실전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참여자들은 “농업이 단순한 직업을 넘어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실현하고, 더 나아가 워라블(Work-Life Blending)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임을 체감했다”고 전했다.
입교식에서는 농협 창업농지원센터 서종경 센터장이 ‘청년농업인 미래 성공전략’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창농에도 ▲커뮤니티 조직화 ▲마인드셋 ▲기술력 강화 ▲지원사업 전략 ▲판로 다각화 등 6대 핵심 요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고전 '택리지'의 4대 요소에 빗대어, 농업은 ‘일과 삶이 자연스럽게 섞이는 삶의 방식’임을 역설하며 참석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농협중앙회 한미선 팀장은 농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농협의 역할을 소개하며, 청년농업인에게 생산뿐 아니라 유통과 마케팅을 포괄한 가치 창출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 가락공판장, 하나로마트, 농식품물류센터, 지역 농협 푸드센터 등 유통 현장을 직접 견학한 참가자들은 생산과 소비를 잇는 구조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었다.
교육 과정에는 청년농업인 성공 사례 발표도 포함됐다. 딸기 스마트팜으로 연 매출을 끌어올린 ‘부자농원’ 이호명 대표, 방울토마토 스마트팜과 크라우드펀딩으로 1,900% 목표 달성을 이룬 ‘우리가 그린 농산’ 우민재 대표, 야생 쑥 아로마 제품을 통해 로컬브랜딩에 성공한 ‘찐촌바이브’ 선무영 대표 등의 경험을 공유했다.
‘My Farm, My Brand’ 팀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은 농업과 도시의 공존 전략, 소비자 타겟팅, 브랜드 기획 등을 직접 설계했다. NH농협은행 농업금융부 김성열 차장은 “단순한 자금 대출이 아니라 사업계획서가 핵심”이라며, 실질적인 금융 전략을 안내했다.
교육 후속으로는 브랜드 디자인, 농협몰 입점, 라이브커머스 등 다양한 성장 지원 프로그램도 연계된다.
이번 교육은 청년농업인들은 “왜 농업인가” “어떻게 살아남고 성장할 것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해답을 찾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했다. 단순한 재배를 넘어 브랜딩, 유통, 금융을 아우르는 전략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농협은 앞으로도 청년농업인들과 함께 지역사회와 국가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견인하는 ‘가치의 플랫폼’ 역할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