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은 9월 모바일 및 디지털 경제 전반 인텔리전스 분야의 선도 기업인 센서타워(Sensor Tower)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집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센서타워는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설립된 디지털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자체 데이터베이스와 AI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 고객에게 디지털 시장 트렌드, 경쟁사 동향, 사용자 활동 등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삼성전자 등 전 세계 2,500개 이상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인수 전략을 통해 빠르게 성장 중이다.
회사에 따르면 이 기업은 2021년 디지털 광고 인텔리전스 기업 패스매틱스(Pathmatics)를 인수하며 광고 분석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고, 2024년에는 모바일 앱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데이터닷에이아이(data.ai, 구 앱애니)를 인수해 모바일 인텔리전스 분야의 1위로 올라섰다. 올해는 콘솔 게임 분야 인수와 웹 플랫폼 출시를 통해 모바일, 데스크톱, 웹, 콘솔 게임 등 전 플랫폼을 아우르는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60%에 달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신한투자증권은 기존 투자자인 리버우드 캐피털(Riverwood Capital), 파라마크 벤처스(Paramark Ventures), 베인캐피털 크레딧(Bain Capital Credit)과 함께 센서타워의 차세대 성장 전략을 지원하게 된다. 투자금은 제품 혁신과 인공지능(AI)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다.
센서타워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올리버 예(Oliver Yeh)는 “신한투자증권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전 세계 주요 브랜드, 게임 및 앱 개발사, 기관 투자자들에게 더욱 정교하고 실질적인 디지털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이다”며 “이번 투자를 계기로 생성형 AI 기반 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AI가 디지털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2025년 전 세계 소비자들의 모바일 앱 사용 시간은 4.3조 시간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인앱 결제액은 1,6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ChatGPT, 제미니(Gemini) 등 생성형 AI 챗봇 확산으로 비게임 앱 소비 지출이 사상 처음으로 게임 앱을 추월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해 디지털 광고 시장도 전년 대비 12% 성장하고, 광고 노출 수는 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센서타워는 디지털 인텔리전스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이번 투자는 신한의 글로벌 디지털 전환 핵심 전략을 반영한 것”이라며 “AI 시대에는 데이터의 가치가 깊이, 적시성, 활용도에 의해 정의된다. 센서타워는 독보적인 데이터 역량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장기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최근 글로벌 AI 분야 유망 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앞서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 미국의 AI 애드테크 기업 몰로코(Moloco), 데이터센터 조립 자동화 솔루션 기업 브라이트머신즈(Bright Machines) 등에 투자한 바 있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