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남권 숙원사업인 위례선 트램 사업이 공정률 88%를 기록하며 막바지를 향하고 있으나, 신호체계 교통안전심의 지연이 개통 일정의 최대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다.
13일 열린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도시철도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윤영희 의원은 “시운전과 교통안전심의가 향후 전체 일정의 핵심 변수”라며 “서울시는 더 이상 책임 공방에 머물지 말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위례선 트램은 지난 10월 기준 공정률 88%를 기록했다. 다만 신호체계 심의 과정에서 서울시와 경찰청 간 의견 충돌이 이어지며 일정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경찰청은 “해당 구간은 도로 공간이 아닌 철도 공간으로 볼 여지가 있어 기존 교통심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입장이고, 서울시는 “도입 취지상 우선신호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대립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사업 관계자는 “심의 절차가 예정보다 늦어지며 최대 4개월 정도의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그럼에도 모든 신호체계에 대비하는 방식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장에서는 펜스 설치·철거, 구조물 배치 등과 관련된 주민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1~2개월마다 주민·현장 TF 회의를 열어 민원을 직접 청취하고 있다”며 “지역주민이 충분히 적응할 때까지 우선 안전 펜스를 설치하되, 상황이 안정되면 순차적으로 철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위례선 트램 차량은 8월부터 충북 오송시험선에서 약 3개월간 5,000km 예비주행시험을 실시한다. 이어 11월부터는 위례 본선에서 종합시험운행에 돌입할 예정이다.
윤 의원은 “경찰청과의 교통안전심의가 협의되어야 전체 개통 일정도 지킬 수 있다”며 “서울시는 모든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조속히 마무리해 달라”고 촉구했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