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3일 평택캠퍼스에서 'K-반도체 벨트 전략 보고대회'를 열고 향후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대한 추가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2019년 4월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 발표 당시 수립한 133조 원의 투자계획에 38조 원을 추가해 2030년까지 총 171조 원을 투자하고 첨단 파운드리 공정 연구개발과 생산라인 건설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최근 모든 산업영역에서 전례 없는 반도체 부족 사태가 빚어지고, 각국 정부가 미래 산업의 핵심인 반도체 공급망 유치를 위해 경쟁하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투자 확대가 'K-반도체'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삼성전자는 평택캠퍼스 3라인 건설에 본격 착수했다. 2022년 하반기 완공 예정인 평택 3라인의 클린룸 규모는 축구장 25개 크기이다.
현존하는 최첨단의 기술이 적용된 팹(Fab)으로, EUV 기술이 적용된 14나노 D램과 5나노 로직 제품을 양산한다. 모든 공정은 스마트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자동으로 관리된다.
평택캠퍼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로서 최첨단 제품을 양산하는 전초기지이자 글로벌 반도체 공급기지로서의 주도적 역할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차세대 D램에 EUV 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용해 나가고 또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를 융합한 'HBM-PIM' ▲D램의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CXL D램' 등 미래 메모리 솔루션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며 '초격차 세계 1위' 위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 삼성전자 김기남 부회장은 "한국이 줄곧 선두를 지켜온 메모리 분야에서도 추격이 거세다"며 "수성에 힘쓰기 보다는, 결코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벌리기 위해 삼성이 선제적 투자에 앞장 서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과 지원·투자도 더욱 확대한다고 밝혔다.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육성을 위해 팹리스 대상 IP 호혜 제공, 시제품 생산 지원, 협력사 기술교육 등 다양한 상생 활동을 확대하고 공급망 핵심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는 물론 인재 육성을 위한 학계와의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파운드리 분야는 사업이 커질수록 국내 팹리스 업계의 성장 가능성이 커지고, 많은 팹리스 창업이 이뤄지며 전반적인 시스템반도체 산업 기술력이 업그레이드 되는 부가 효과를 유발한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 확대는 5G, AI, 자율주행 등 우리나라 미래 산업의 밑거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 부회장은 "지금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은 거대한 분수령 위에 서 있고 대격변을 겪는 지금이야 말로 장기적인 비전과 투자의 밑그림을 그려야 할 때"라며 "우리가 직면한 도전이 크지만 현재를 넘어 미래를 향해 담대히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