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03호 박건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 2014.11.06 08:59:33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치매란 정상적인 지적 수준을 유지하다 장년기 이후 뇌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인지기능이 소실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로 인해 기억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정서 및 성격, 행동 장애 등이 동반되어 사회생활과 대인관계에 이상을 가져온다.
옛날에는 나이가 들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노망’이나 ‘망령’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으나, 지금은 정상 노화과정에서 오는 인지기능의 감퇴와 구별되는 특별한 질병으로 구분된다.
치매의 원인은 수십 가지가 있다. 치매는 그 원인을 치료하면 나아지는 가역성 치매와 원인 치료가 어려운 비가역성 치매로 구분된다.
가역성 치매를 일으키는 질환으로는 뇌졸중(혈관성치매), 우울증, 약물·알콜 중독, 화학물질에 의한 중독, 전해질이상이나 갑상선 질환 등과 같은 대사성 장애 등이다. 또 비타민 결핍이나 일시적인 뇌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감염성 뇌질환, 수두증, 두부외상, 다발성경색증 등이 있다.
이에 반해 비가역성 치매를 일으키는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이 대표적이며 알츠하이머병, 전두측두엽변성, 파킨슨병과 크루츠펠트-야곱씨 질환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치매가 전체 치매환자의 90%를 차지한다.
치매는 다른 병들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치매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치매는 가장 흔하게 기억력 장애를 보인다. 그러나 깜빡한 내용을 주위에서 상기시켜줬을 경우 금방 기억해내는 건망증과 달리 방금한 일도 기억하지 못하고 엉뚱한 소리를 한다.
또한 치매를 의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핵심은 기억력 장애와 더불어 감정조절이 안되고, 인격이 변하며, 갈 길을 잊어버리고, 계획적 행동을 못하는 인지기능의 손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단순히 단기기억을 잃은 것에서 나아가 시간, 장소,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집을 나가 배회하고, 평소 얌전하던 사람이 치매가 진행됨에 따라 난폭한 행동을 서슴없이 행하며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을 횡설수설하기도 한다.
정신질환에서나 나타날 수 있는 과도한 망상증상이나 환각증상에 의해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잘못 인식하고 의심을 하는 등의 증상도 한번 치매를 의심해 봐야 할 증상들이다.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속적인 건강관리다. 사진은 10월 15일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신 노인문화 인식개선 걷기대회’ 모습. 사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