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고려대, 허지원 교수팀 연구결과 ‘Computers in Human Behavior’ 게재

소셜미디어 자해 포스팅, 임상적 위험 신호

  •  

cnbnews 박유진⁄ 2022.03.08 16:24:35

고려대학교 허지원 교수. (사진 = 고려대학교 제공)

 

지난 십여 년간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와 관련한 정신건강문제가 대두되어 왔으며 이는 특히 COVID-19 대유행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보고되고 있다. 더욱이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를 수행하는 젊은 연령층의 경우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의 SNS(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자해 관련 포스팅을 시도하는 문제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고려대학교는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 행동을 온라인 플랫폼에 포스팅을 하는 성인들의 심리적 특성을 국내 연구진들이 최초로 규명하여 그 결과가 실험 심리 및 다학제 심리학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전문학술지인 ‘Computers in Human Behavior(IF 6.829)’에 발표됐다고 8일 밝혔다.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허지원 교수 연구팀은 한국연구재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표면 그 아래: 젊은 성인여성의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 콘텐츠 온라인 게시의 임상 및 심리사회적 요인 Beneath the surface: Clinical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posting nonsuicidal self-injury content online among female young adults’이라는 제목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가 지난 3월 3일 공개됐다.

이번 연구는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 행동을 하는 249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그 중 67명은 자해 관련 콘텐츠를 온라인 및 소셜미디어에 올린 경험을 있었고, 나머지 182명은 자신의 자해 행동을 온라인에 게재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보고한 참여자들이다. 자해 포스팅을 하는 사람들은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 자해의 주요한 동기일 것이라는 일반적인 편견과 달리, 정서의 조절, 자기 고통의 기록, 자기 처벌을 목적으로 자해를 하는 경향이 매우 높았으며, 무엇보다 실제 자살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자해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이들의 회복탄력성과 자존감은 훨씬 낮은 양상을 보였다. 또한 관련 포스팅을 하지 않는 자해군과 달리, 이들은 자해를 하려는 갈망, 자살 사고, 과거 자살 시도 경험 모두가 증가한 패턴을 보였으며 특히 자살 사고가 높을수록 자해 포스팅이 잦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경제 박유진 기자>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