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가 인도네시아 수력발전소 건설사업에 참여한다.
DL이앤씨는 지난 14일 한국중부발전이 대주주로 참여한 특수목적법인(SPC) PT. 시보르파 에코 파워와 1500만달러(약 22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PT. 시보르파 에코 파워는 인도네시아 시보르파 수력발전소 건설사업을 추진하고자 설립한 법인이다. 이 수력발전소는 수마트라섬 북동부 빌라강(江)에 114메가와트(㎿) 규모로 건설된다. 완공되면 1년간 현지 약 100만명이 사용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DL이앤씨는 2030년 8월까지 발주처를 대신해 설계·시공 등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CM을 맡는다. CM은 프로젝트 경험과 프로세스의 높은 이해를 요구하는 기술집약적 업역이다. 발주처 입장에선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 같은 이점 때문에 해외 대형 프로젝트는 CM을 활용한다.
공공기관이 사업을 제안해 수주하고, 국내 기업은 설계‧시공 관리에 참여하는 이번 사업은 향후 ‘민관(民官) 상생 협력’의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DL이앤씨가 2022년 입찰 당시 강점을 보인 것은 ‘대안설계’ 능력이다. 입찰 참여 회사 중 유일하게 대안설계를 제시했다. 수력발전은 도수로(導水路)를 통해 댐에서 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발주처는 처음 도수로를 4.5㎞ 길이 지하 터널로 계획했다.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하는 수마트라섬은 지반 상태가 불안정해 굴착 자체가 큰 모험이다. DL이앤씨는 지하 터널을 개수로(지상에 설치하는 수로)로 변경해 시공성‧공기(工期)‧원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제시했다. 발주처는 이를 좋게 평가해 이번 CM 사업 수주로 이어졌다.
DL이앤씨 문병두 토목사업본부장은 “그동안 중동‧동남아시아 등에서 수력발전소 공사를 진행하며 축적한 기술력이 수주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며 “미국‧유럽 등 선진국 업체들이 독식해온 사업관리형 CM 시장에 진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력 공급을 늘리고자 2030년까지 10.4기가와트(GW) 이상의 신규 수력발전소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인도네시아는 물 자원이 풍부하고 수천 개의 섬으로 이뤄져 있어, 섬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게 만성적인 전력난을 해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1990년대에 수력발전사업을 시작한 후 국내 최다 시공 실적을 가진 DL이앤씨는 인도네시아에서 다수의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달 말에는 인도네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카리안댐’을 준공할 예정이고, 2022년에는 인도네시아 최초의 양수발전소 ‘어퍼 치소칸 수력발전소’를 착공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