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글로벌 통신장비업체 에릭슨과 함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네트워크 장애 예측 기술을 시연했다.
LG유플러스는 23일, 3GPP(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 표준 기술 장비인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를 활용해 네트워크 장애를 예측하고 조치 방안을 제시하는 기술을 시연했다고 밝혔다.
NWDAF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이상 징후를 사전에 탐지하고, 자율적인 대응까지 수행할 수 있는 핵심 장비로, 향후 AI 기반의 네트워크 자동화 운영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번 시연에서는 특히 기지국의 트래픽 혼잡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별 과부하를 예측해 적절한 조치를 제시하는 기술이 선보였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단일 네트워크를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가상으로 분리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트래픽 과부하 시에도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사는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 사용 패턴과 체감 품질을 핵심 성과 지표(KPI)에 기반해 분석하고, 음성 품질 저하 원인을 실시간으로 진단해 예지하는 기술도 함께 시연했다. 이는 향후 인간의 개입 없이도 네트워크가 스스로 작동하는 ‘자율 운영’ 시대의 실현 가능성을 높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LG유플러스는 현재 이화여대, ETRI, 포항공대 등이 참여하는 국책 과제에도 참여하며 ▲분산협력 AI 기반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 ▲6G 지능형 코어 개발 등을 선도적으로 연구 중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이번 기술 시연을 통해 고객 불편을 사전 차단할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AI 기반 네트워크 인프라 혁신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에릭슨의 홍석원 상무도 “3GPP 표준 기반 NWDAF 기술은 5G 네트워크 고도화와 고객 경험 개선에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협력 지속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