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의 상세한 해설을 들으며 전시품을 감상할 수 있는‘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5월에는 4월에 공개된 특별 전시와 심화 전시를 비롯한 상설전시실의 다양한 전시품 이야기를 마련했다.
특별전《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는 태평양 여러 섬의 예술과 문화, 철학을 18세기에서 현대까지의 석상, 조각, 직물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품으로 풀어낸 전시이다. 오세아니아 사람들의 삶과 예술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세계문화관 인도·동남아시아실에서는 심화 전시 <손안의 부처-미얀마의 전불塼佛>이 진행되고 있다. 세계의 다양한 불교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마련한 이번 심화 전시는 9~12세기 미얀마에서 제작된 전불을 주제로 한다. 전불은 불상이나 보살상을 새긴 틀을 납작한 진흙판에 찍고 햇볕에 말리거나 구워 완성한 것으로, 전불을 만들어 바치는 것은 불상이나 탑을 만드는 것과 같은 선한 행위로 여겨졌다. 미얀마의 전불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인도와 비슷하면서도 세부 표현에서는 독자적인 특징이 돋보인다. 그동안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동남아시아 불교 문화를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다채로운 불교미술도 만나볼 수 있다. 불교조각실의 <조선시대의 불교조각>과 야외전시장의 <갈항사 삼층석탑, 그 비밀스런 이야기들 들여다보기>, 금속공예실의 <한국의 범종> 등은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불교 예술품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관람객을 위해 특별히 기획하였다.
그 외에도 상설전시실 여러 공간에서 다양한 전시품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다. 선사고대관에서는 백제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백제의 관과 관식>, <무령왕릉, 발굴과 유물 이야기>를 비롯해 <고대 가야와 왜의 교류>,<국가형성기 대외교류와 낙랑>을 만나볼 수 있다. 어린이박물관의 <문화유산 속 마음>, 조각공예관의 <백자의 아름다움>, 서화관 <왕이 보는 책, 외규장각 의궤>, 세계문화관의 <한·중·일의 장황>, 중·근세관의 <조선의 화력, 승자총통> 등도 준비되어 있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