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CNB화랑]“내가 인물화에만 전념하는 이유는…”

  •  

cnbnews 제123호 편집팀⁄ 2009.06.23 21:56:55

글·오광섭 오랜 기간 동안 인체는 미술의 표현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 역사가 증명하듯 인체에 대한 관심은 영원한 화두임을 잘 나타낸다고 하겠다. 인체의 표현을 배움의 한 과정으로만 생각했었다가, 언제부터인가 내 작업에 있어 진정한 대상물이 되어버린 것 같다. 인체는 사실적 측면이나 아카데믹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쉽게 표현하기 힘들다고 할 수 있다. 대상의 관찰을 충분히 하지 않을 때는 그림의 어색함은 어김없이 나타나고 만다. 인체는 유기적인 소재이다. 얼마든지 형태의 변주가 이루어지며, 색채에 있어서도 자연의 요소를 모두 집약시킨 듯한 느낌이다. 인체는 그 자체가 언어의 역할을 한다. 동세를 순간 포착하는 드로잉과 아울러, 인체의 일부분을 확대하거나 특별한 상황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화면상의 추상적 모티브를 결합시킴으로써 얻는 느낌과 형상의 전이를 이루는 데포르화, 여러 가지 다양한 포즈에서 나타나는 동적 혹은 정적인 감정의 다양한 표현 등 인체는 순수하고 자연적이고 이상적인 창작욕구의 즐거움이다. 내 작업실에는 점차 인체, 특히 여체를 중심으로 한 그림들이 하나 둘 벽면을 메워 가고 있다. 여체의 찬미를 너머 진정한 인물화로의 접근을 위해 더 많은 작업을 하고 있다. 지금의 작업 내용을 조금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자평한다면, 우선 내 작업에서는 실험성이 부각되고 있지 않으면서 사실주의 미학에 근거하되, 다만 감정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생기는 표현적인 즐거움을 추구하는 정도에 그친다고 할 수 있다. 나는 인상주의 이후 우리나라에 흘러들어온 구상화의 흐름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또한 이 시대의 조류에서 멀찍이 떨어져버린 듯한 느낌, 실제로 어떤 이들은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작업 양상, 그것도 무미건조하다고 느낄 수 있는 작업을 한다면 그것은 잘못된 선택과 함께 살아남지 못하리라고 충고한다. 또 다른 이들은 미술적 공황을 염두에 두어 내가 하고 있는 작업을 복고적 형태로 봐주고 있다. 내 그림 속에는 지역성과 선배 미술가들의 영향이 없지는 않지만, 그 속에 묻히는 건 원치 않는다. 그래서일까? 스스로 느끼는 가장 큰 문제는 어떤 방법이든, 어떤 대상과 의미의 표현이든, 무언가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이다.

오광섭 ( 吳廣燮 - O Kwang Sup )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졸업 2009 새로운 조망전[자미갤러리] ‘시대의 자화상-가족’전[전대 용지관 전시실] 향수전[백민미술관] 오광섭 개인전[OS갤러리] 청명전[광주북구청갤러리] 한국현대미술 신기회전[세종문화회관] 울산·광주 구상작가교류전[울산문화예술회관] 오광섭 개인전[시안갤러리] LWAF-‘바람에게 묻다’전[인사아트플라자] 2008 한국 구상미술 발원 연합전[조선일보미술관] 작은 그림 큰 기쁨전[시안갤러리] 대한민국 현대 인물화가회전[인사조형갤러리] 신형전[상계갤러리] 한국현대미술 신기회전[세종문화회관] 불휘기픈 300호 대작전[대동갤러리] 부산국제아트페어(BIAF)[부산문화예술회관] The flower전[롯데면세점본점] Books & People 2008 책과 사람전[반디엔루이스] 남도의식의 확산전[갤러리자리아트] 시안갤러리 기획 Four Spring 전[시안갤러리] 現 한국미술협회, 신기회, KSOPA, 신형회, 한국인물화가회, 불휘기픈회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