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서울시립미술관 엄선 12인의 공예컬렉션 '재료의 발견'展

  •  

cnbnews 제353호 왕진오⁄ 2013.11.19 17:46:15

서울시립미술관이 엄선한 공예컬렉션 '재료의 발견'전이 관악구청 갤러리관악에서 11월 20일부터 12월 30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공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 현대 공예 작품들로 도예, 목공예, 섬유공예, 유리공예 등 총 13점이 선보인다. 도예 작품인 강석원 ‘무제’(2008)와 김지혜 ‘숨쉬는 몸’(Breatheing body, 2009)는 흙의 부드러운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사람의 입이나 배꼽 등을 연상시킨다. 섬유예술작품인 정경연의 ‘Untitled 04-installation’(2004)은 면장갑을 작품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갑의 실용적인 쓰임새를 넘어 재료의 특성을 살린 조형적 구성으로 새롭게 해석했다.

유리공예작품으로는 김성연의 ‘얼음정원-Blue’(2009)으로 크리스탈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면서도 재료가 어떤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나무를 활용한 구경숙의 ‘환타지아 ‘91’(1991)는 작가에 의하면, 한국의 소리인 다딤이 소리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142개의 다딤이 방망이를 이용한 작품이다. 따라서 소리가 퍼져나가듯이 다딤이 방망이들이 중심에서 주변으로 발산되는 듯한 형상을 볼 수 있다. 최현철의 ‘부활’은 죽은 나뭇가지의 형태와 재료의 특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이다. ‘부활’이란 제목처럼 누군가에게는 쓸모없는 재료가 작가의 선택과 생각을 바탕으로 나무의 유기적인 형태를 잘 살린 작품으로 부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옥현숙의 ‘그물과 목어’는 코딩 동선과 여러 가지 오브제들을 활용하여 어부에게는 생활의 주요한 도구인 그물을 조형적으로 승화하였다. 작가는 그물은 ‘우주를 떠다니던 생전의 망상인 번뇌’를 의미하며, 제목 속 ‘목어’가 불교에서 목탁에서 유래한 만큼 부단한 자기 수련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왕진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