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韓銀, 경제성장률 2.6%로 상향조정...수출호조-소비 반등, 그러나 저성장은 지속

  •  

cnbnews 정민구 기자⁄ 2017.04.13 14:32:44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자료를 살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수출 호조세 지속, 소비 반등 등 경제가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6%로 0.1%p 올렸다.


경제 회복세에 따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것은 2013년 7월 이후 3년 9개월 만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다음 기자 간담회에서 국내외 여건 변화를 감안,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을 이 같이 수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한 한은 전망치는 정부, 국제통화기금(IMF)과 같고 한국경제연구원(2.5%), 한국개발연구원(KDI, 2.4%), 현대경제연구원(2.3%), LG경제연구원(2.2%)보다 높다.

이는 이어지는 수출 호조세와 내수 회복의 조짐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주열 총재는 "국내 실물경제는 최근 성장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수출과 투자 호조에 힘입어 작년 4분기에 비해 상당 폭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지난 11일 경제동향에 대해 "생산과 투자의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그간 부진했던 소비도 반등하는 등 회복 조짐이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경제 호조 흐름을 시사했다.

그러나 한은의 이 같은 전망치 상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저성장'이라는 큰 흐름이 바뀐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014년 3.3%를 기록했지만 2015년과 작년에는 각각 2.8%에 그쳤다. 특히 한은의 예상이 적중한다해도 올해 성장률은 작년보다 0.2%p 떨어진다. 이는 곧 GDP 성장률이 3년 연속 2%대 후반에 그친다는 것을 뜻한다.


한편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 전망치도 1.9%로 종전보다 0.1%p 올렸다. 석유류의 가격 상승 등으로 물가안정목표인 2% 수준에서 오르내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앞서 이날 오전 금통위는 전반적으로 '신중 모드'를 보이면서 연 1.25% 기준금리를 10개월째 동결한 바 있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