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문 대통령 임기 2개월 남기고 수면 위로 떠오른 ‘MB 사면론’, 네티즌 의견은?

네티즌 “민주당도 사면 많이 해줬는데 MB라고 불가능하진 않아” VS “MB추종자들이 아쉬워서 구걸하듯 협박”

  •  

cnbnews 양창훈⁄ 2022.03.17 10:22:09

사진 =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2개월 남은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는 17일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을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 씨는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과는 다르게 이 전 대통령은 건강상 문제가 따로 제기 되지도 않았으며,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자신의 범죄행위에 대해 국민에게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다시는 이런 논의가 정치권에서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주장했다. 17일 기준 12만명이 A 씨의 글에 동의했다.


일부 시민단체는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16일 공개 서명을 통해 “국민통합과 화합’이라는 미명 하에 이루어지는 ‘범죄자의 정치적 사면’에 반대한다”며 “윤 당선인은 당선증에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이 전 대통령 사면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라며 반대의견을 냈다.


참여연대도 지난 15일 “이명박의 사면 논의 자체가 매우 부적절하며, 범죄를 저지른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면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며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관련해 정치권에서는 윤 당선인인이 16일 예정되었던 오찬에서 문 대통령에게 이 전 대통령의 사면을 제안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윤 당선인측은 “국민 통합을 위해, 이 전 대통령의 특사가 필요하다”는 태도를 고수했지만, 예정된 회동이 연기되며 이 대통령의 사면이 다시 불투명해졌다.


여론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에 첨예한 입장 차를 보였다. 이충상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14일~15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5명에게 의견을 물은 결과 사면 찬성이 46.4%, 반대가 49.1%로 나타났다.


한편 윤 당선인과 문 대통령과의 첫 회동이 4시간 앞두고 갑작스럽게 취소되면서 이 전 대통령의 사면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 전 대통령과 함께 김경수 전 경남지사 ‘동시사면론’이 불거지며 변수가 됐다는 평가도 나왔다.


관련해 네티즌들 의견이 나뉘었다. 찬성 측 의견으로 “명박이도 풀어줘라”, “민주당도 가석방이니 사면이니 해서 죄다 풀어줬습니다. 마치 자기들은 아닌 것처럼 그러는데 국민들이 눈치 채지 못하게 그랬잖아요”등의 의견을 보였다.

반대 측에서는 “만기채우도록 해라. 얼마나 농간을 부렸냐 거짓말을 사실인양 피해자들 두번 죽이고”, “정신 나간 나라! 특권층은 사면을 면죄부로 사용할수 있고 일반 국민은 음주운전 2번이면 구속이고 법은 만인에게 펑등하긴 개뿔!”, “국민통합 차원? 지나가던 개가 웃겠다. 뭐가 국민통합이냐? MB추종자들이 아쉬워서 구걸하듯 협박 하는 거지”등의 비판적인 글들이 쏟아졌다..

관련태그
이명박 대통령  윤석열 당선인  문재인 대통령  이명박 사면  MB사면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