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최대 피해업종인 숙박·음식점업의 경기가 펜데믹(감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나 백신 접종 등에 따라 소비심리가 조금씩 개선되면서 이들 업종의 경기 회복에 도움 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7월 숙박 및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불변지수 기준 108.1(2015년=100)로 1년 전보다 29.9% 올랐다. 이는 2019년 수준(99.5)을 넘어선 수치다. 숙박·음식점업의 실질 경기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개별 사업체의 매출액 등을 토대로 산출한 지표로, 불변지수는 물가 영향을 제거한 실질적인 생산 수준을 보여준다.
숙박·음식점업은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대표 업종이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020년 1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지난해 2월까지 14개월 연속 하락세였다가, 지난해 9월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올해 7월까지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최근 4개월간은 10% 넘는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지난 4월부터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업종별 생산지수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숙박업 108.6, 음식점·주점업 108.0으로 각각 2019년 7월 수준(숙박업 101.7, 음식점·주점업 99.1)을 넘어섰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105.6으로 역시 2019년 7월 수준(105.5)을 조금 웃돌았다.
이 같은 대면 서비스업의 회복세는 소매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민간 소비가 개선되고 있다는 근거다.
7월 소매판매(계절조정 기준)는 117.9로 전월보다 0.3% 줄어,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5년 이후 처음으로 다섯 달 연속 감소했다.
이와 관련, 통계청은 소매판매가 재화 소비만을 산출한 지표이고 숙박·음식점, 예술·스포츠·여가 등 대표적인 소비자 서비스업 지수가 호조인 점을 고려했을 때 전체 소비는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고물가 상황이 이어지고 있고 금리 인상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 전체 소비가 개선세를 이어갈지는 불확실성이 크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각 포털사이트 댓글창에는 누리꾼들의 의견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음식점 경영주로 추측되는 한 누리꾼은 “장사해서 예전하고 똑같이 팔면 뭐하나, 마진이 30%였다면 지금은 15% 수준”이라며 “마치 경기가 다 회복된 줄 알겠다”고 지적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