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망 사용료 “내라”vs.“못낸다”… 통신사와 CP(구글 ·넷플릭스 등) 갈등 속 뜨거운 네티즌 반응

유튜브코리아, 망 사용료 법안 반대 청원 펼쳐… 트위치는 영상 원본 최대 해상도 720p로 축소키로

  •  

cnbnews 김응구⁄ 2022.09.30 11:03:08

유튜브 로고. 사진=연합뉴스 자료

최근 인터넷망 사용료 문제를 놓고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와 콘텐츠 사업자(CP) 간 갈등이 고조되면서 이와 관련한 누리꾼들의 반응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현재 우리 국회는 국내 인터넷 트래픽(데이터 전송량)의 ⅓ 이상을 차지하는 구글과 넷플릭스를 겨냥해 ‘망 사용료’ 의무화 법안(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준비 중이다.

관련해, 유튜브 코리아는 “지금 국회에서 논의 중인 망 사용료 관련 법안은 국내 인터넷 생태계, 한국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와 유튜브 운영에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지를 들어 지난 22일까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망 사용료 법안 반대 청원을 펼쳤다.

또 세계 최대 게임방송 플랫폼 트위치는 지난 29일 “9월 30일부터 화질 조정 기능이 제공되는 채널에서 한국 시청자의 (영상) 원본 최대 해상도를 1080p에서 720p로 축소하기로 했다”고 공지했다. 사실상 망 사용료 부담을 이유로 서비스를 제한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카카오나 네이버 등 국내 CP는 물론 아마존(트위치), 메타(페이스북), 디즈니플러스, 애플TV 등은 망 사용료를 내고 있지만 구글과 넷플릭스는 그렇지 않다.

트위치 로고. 사진=연합뉴스, 트위치 제공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에펨코리아 등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한 네티즌은 “유튜브 초창기 한국에 서버가 없었을 때, 구글이 한국에 서버 만들어 주는 대신 망 사용료는 내지 않겠다고 한 것으로 안다”며 “지금 통신사들은 유튜브 트래픽이 크니까 망 사용료를 내라는 건데, 구글이 망 사용료 내는 대신 서버를 철수해버리면 오히려 통신사들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댓글을 남겼다.

또 다른 네티즌은 “망 사용료 받으면 (통신사) 고객들 요금은 내려주나?”라며 “망 사용료도 받고 (고객들) 요금도 그대로면 넷플릭스나 유튜브 요금은 올라갈 텐데 돈 내는 사람만 부담이 늘어나는 것 아닌가”라고 의견을 밝혔다.

한편에서는 “소비자 입장에서 돈을 더 내면 제대로 된 서비스라도 받고 싶다”며 “통신사 편을 들어주면 돈은 더 내고 서비스질은 제한되거나 글로벌서비스도 제대로 이용 못할 것 같아서 글로벌 편들어 준다”는 네티즌 의견도 있었다.

반면, 한 네티즌은 “솔직히 통신사가 괘씸하긴 하지만 받는 게 말이 되는 건, 인터넷 사용하면 모든 게 트래픽 양에 따라 정해지는데 트래픽 양은 점점 늘어나는데 돈은 그대로인 게 말이 되나?”라며 통신사의 주장에 손을 들어줬다.

또 “그래도 구글은 돈을 내야 하지 않을까? 구글보다 못 버는 트위치도 지금까지 돈 냈는데, 구글은 트래픽 소모 톱급에 돈도 많이 벌면서 돈 한 푼 안 내면서 사용자를 인질로 잡고 저러는 것 아닌가”라는 의견도 나왔다.

망 사용료 부담을 이유로 글로벌 CP들이 여론전에 나서면서 결국에는 국내 이용자들만 피해를 본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CP들이 ISP나 국회와 풀어야 할 문제임에도 국내 이용자들을 앞세워 여론몰이를 함에 따라 애꿎은 소비자들만 피해를 본다는 것이다.

한편, 망 사용료 논란은 글로벌 CP들의 트래픽 사용량이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10~12월 국내 서비스 안정성 확보 의무 대상사업자의 트래픽 양을 분석한 결과, 구글이 국내 트래픽 양의 27.1%, 넷플릭스가 7.2%를 차지했다. 두 CP의 트래픽 양이 전체의 ⅓을 넘긴 셈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최근 망 사용료 입법 공청회에 이어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현재 망 사용료의 법제화 관련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망 사용료 의무화법은 일정 규모 이상 부가통신사업자의 망 이용 대가 지급을 의무화는 법안을 비롯해 7건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통칭한다.

해외 사정도 우리와 비슷하다. 독일의 도이치텔레콤, 프랑스의 오렌지, 스페인의 텔레포니카 등 유럽 16개 통신사업자는 지난 26일(현지시각) 구글·넷플릭스 등 빅테크의 망 투자 비용 분담 성명을 발표했다. 같은 날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브랜던 카 위원 역시 빅테크가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

관련태그
망 사용료  유튜브  트위치  트래픽  전기통신사업법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