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은⁄ 2022.10.20 14:14:46
글로벌 경기 둔화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내년에도 주요 산업 대부분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정유 및 2차 전지는 양호한 업황이 기대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일 '2023년 산업전망' 보고서를 통해 총 5개 산업군, 15개 산업을 전망하면서 소재∙부품 부문에서 정유 및 2차 전지를 제외한 나머지 13개 산업의 업황이 올해보다 위축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높은 원가부담이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금리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이 감소하면서 수요가 올해보다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반도체, 자동차 산업의 경우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의 영향까지 겹치면서 업황 개선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전기자동차 확산으로 견조한 수요 증가세가 기대되는 2차전지, 내년에도 양호한 정제마진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유업와 같은 몇몇 산업은 2023년에도 예년 대비 양호한 업황을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2차 전지 산업은 미국 및 중국의 전기차 판매가 내년에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중 갈등으로 인한 배터리 시장에서의 중국 배제 정책이 오히려 우리나라 배터리 업계에는 득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내년부터 대미 수출을 위한 배터리 셀, 부품 및 소재 관련 직접 투자도 늘어날 것으로 봤다.
정유업은 올해보다는 정제마진이 다소 줄겠지만 여전히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의 정제마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러-우 전쟁 장기화에 따른 대체 에너지원 수요 확대로 내년에도 견조한 원유 수요가 예상되고 있어 양호한 업황을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2차 전지와 정유를 제외한 소재∙부품업은 전반적으로 업황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원자재 가격 부담으로 인한 제조원가 부담 가중이 장기화와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감소가 겹치면서 소재∙부품업체들은 매출감소와 수익성 하락의 2중고를 겪을 것으로 우려했다.
디지털산업군의 경우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장기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이지만 코로나 특수를 누렸던 TV, 컴퓨터와 같은 내구재 소비는 감소할 수 밖에 없고, 부품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업 역시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최근 몇 년간 신산업 탄생의 산실로 주목받았던 스타트업 기업들은 금리 상승기를 맞아 투자 위축이 불가피해 시장의 냉정한 판단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운송산업군은 금리급등, 글로벌 경기 하방압력 증대 및 소비 심리 위축으로 운송 수요 감소가 우려되며, 해운업은 글로벌 환경규제마저 강화되면서 관련 기업들은 투자확대 부담까지 떠안을 것으로 예상됐다. 강(强)달러로 인한 영향은 운송산업 내에서 세부 업종별로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자동차, 조선, 해운 등은 수혜를 볼 것이지만 항운은 여객수요 감소 등이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측됐다.
소비재 산업군에서는 간편식, 건강기능식 등 신사업 확대가 기대되는 음식료 업종이 소폭의 성장을 보일 뿐 대부분의 산업에서 업황 위축이 우려됐다. 고금리 지속 및 경기둔화로 인한 소비 감소가 불가피한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의 효과가 감소하면서 외식업, 의류업 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으며 화장품 제조업은 내수는 양호하나 대중 수출은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부동산 산업군 역시 금리 상승 및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업황 위축이 우려되었다. 특히, 고금리로 인한 개발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민간 주택 등의 신규 착공이 난항을 겪으면서 건설업 실적 감소가 예상됐다. 또한 강달러 및 고유가로 인해 인바운드 관광객 수의 회복이 더뎌지면서 호텔업을 중심으로 한 숙박업의 업황 회복은 지연될 것으로 전망됐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