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새마을금고 위기설'에 뱅크런 나선 고객들...PF 부실 대출 뇌관되나

PF 대출 늘리며 규모 확장해오다 직격탄, 행정안전부 관리부실 우려 또다시 수면 위로

  •  

cnbnews 김예은⁄ 2023.07.05 13:42:40

'위기설'에 휩싸인 새마을금고의 수신 잔액이 두 달 새 7조원가량 줄었다.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새마을금고를 겨냥한 검찰 수사도 확대되며 대내외 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새마을금고에 대한 위기설이 고조되며 7조 원 규모의 뱅크런 사태가 발생했다.

 

새마을금고의 284조원 자산 규모의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사상 최고 수준인 6.18%로 치솟고, 특히 부동산 대출 위주인 기업대출 연체율이 10%에 육박하는 9.63%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초부터 제기되어 온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뇌관이 새마을금고에서부터 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는 양상이다.

600억 원 규모의 PF 대출 채권 부실로 7월 22일 화도새마을금고에 인수합병될 예정인 경기도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 호평지점에는 4일 오전부터 예·적금 상품을 해지하기 위해 대기하는 고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금융당국의 감독을 받는 다른 은행과 달리 행정안전부의 감독을 받는 새마을금고가 행안부의 관리 부실을 틈타 방만 영업에 나섰다가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체금액 200억 원 이상, 평균 연체율 상위 100개 새마을금고를 집중 점검 대상으로 선정해 관리하는 ‘연체율 감축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올 들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전국 1294개 금고의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3.59%에서 올 6월 처음으로 6%대에 진입했다. 반년 만에 2배 이상 높아진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2년8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한 은행권 4월 연체율(0.37%)보다 16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특히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증가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것은 새마을금고 전체 대출 213조2000억원의 52.3%(111조6000억원)를 차지하는 기업대출, 그중에서도 기업에 대한 부동산 PF 대출 부실에서 비롯된다. 대한금융신문이 보도한 한국은행과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새마을금고가 보유한 기업대출(111조0740억원)의 50.7%인 56조3000억원이 건설·부동산업에 대출을 내준, 이른바 부동산 PF대출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새마을금고 부동산 PF 가운데 규모가 큰 관리형 토지신탁을 제외한 액수임에도, 전체 금융권의 부동산 PF대출 잔액 가운데 3분의 1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전체 금융권의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116조6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을 맡고있는 행안부는 새마을금고 자산(작년 말 기준 284조원)이 농협은행(387조원)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성장하는 동안 부실 관리로 인해 이같은 위기를 자초했다는 비판을 피해가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새마을금고는 2019년부터 오피스텔과 빌라, 전원주택 단지 등 100억원에서 300억원짜리 비교적 규모가 작은 사업장에 특화해 대출을 취급하며 급속히 덩치를 불렸다. 연체율 증대에 악수가 된 새마을 금고의 건설·부동산업 대출은 지난 2019년 말 27조2000억원에서 작년 말에는 56조3000억원으로 107%가 증가했으며, 동기간 PF의 일종인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잔액도 지난해 말 15억5079억원으로 9054.6%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부동산시장 침체로 PF대출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기업대출 연체율은 물론 전체 연체율을 단기간에 끌어올렸다. 지역 부동산 개발에 200억원 이상을 빌려준 새마을금고 가운데 연체가 발생한 사업장은 87곳으로, 총 3조2000억원 규모로 파악된다. 이 중에는 연체율이 10%를 넘는 금고도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고 다른 금융회사들이 대출 ‘옥석 가리기’에 나서는 동안에도 새마을금고는 상대적으로 방만한 관리를 이어오다 대규모 뱅크런 사태를 맞았다. 올초 경기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에선 600억원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대출이 발생하며 화도새마을금고로 인수합병됐고, 최근 두달여간 새마을금고 전체 잔액에서 7조 원에 육박하는 예금 인출 사태가 빚어졌다. 지난 4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은 258조2811억원으로, 지난 2월 말 265조2700억원에서 6조9889억원이 감소했다.

 

김광휘 행정안전부 지역경제지원관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책설명회에서 새마을금고 연체율 감축 특별대책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같은 사태에 4일 행안부는 특별관리를 통해 연체율을 4%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유동성 비율을 80% 이상으로 강화하고 부동산·건설업종 대출한도는 각각 30%, 합산 50% 이내로 축소하는 등의 대응 방침을 마련했다. 부동산·건설업 대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도 130%로 확대한다. 연체율이 높은 100개 금고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점검한 뒤 통폐합, 임원 해임 등의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행안부는 이날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기관으로 금고별로 회계가 독립돼 개별 금고의 부실이 다른 금고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연체율 문제가 전체 금고로 확산할 우려도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뒤늦은 조처에 고객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긴 역부족이란 평가다.

금융위원회 역시 이날 서울 캠코양재타워에서 권대영 상임위원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 회의를 열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문제가 된 새마을금고 공동대출은 높은 상환순위를 감안했을 때 충분히 회수가 가능하다”며, "부동산 PF시장의 불안 역시 신속히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

관련태그
새마을금고  뱅크런  PF대출  검찰  행정안전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