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은행 가계대출, 한 달 만에 다시 증가… 주담대 확대 영향

전달보다 5.1조 늘어… 전 금융권 가계대출 석 달 만에 다시 증가세

  •  

cnbnews 한원석⁄ 2024.05.13 16:16:01

서울 여의도 한 은행 지점에 걸린 주택담보대출 현수막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폭이 확대되면서 은행권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도 석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11일 한국은행(한은)이 발표한 ‘2024년 4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한 달 전보다 5조1000억 원이 늘어난 1103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가계대출이 1년 만에 감소했지만, 불과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종류별로 보면 주담대가 3월보다 4조5000억 원 늘어난 865조 원으로 증가세를 이끌었다. 다만 전세자금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세자금 대출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주담대에는 전세자금대출, 이주비·중도금대출 등 주택담보로 취급되지 않은 주택 관련 대출이 포함된다.

기타대출도 신용대출 상환 규모가 축소되고, 1분기말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등으로 전월(-2조2000억 원)과 달리 6000억 원 증가세로 전환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해 12월 2만4000호로 저점을 기록한 뒤 올해 들어 ▲1월 3만1000호 ▲2월 3만 호 ▲3월 3만9000호 등으로 회복됐다.

원지환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담대 증가 폭이 확대되고 기타대출이 증가로 전환하면서 가계대출이 늘었다”며 “주택매매거래 증가가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원 차장은 “4월 들어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은행 재원으로 상당 부분 공급된 점도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금융위원회(금융위)와 금융감독원(금감원)이 밝힌 ‘2024년 4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4조1000억 원 증가하며 석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주담대는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이 확대되면서 4조1000억 원 증가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이 증가로 전환했고,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세가 둔화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IPO 청약으로 인한 기타대출 증가 등 일시적 요인이 4월 가계대출 증가규모에 일부 영향을 줬으나, 디딤돌(구입자금대출)·버팀목(전세자금대출) 등 정책성 자금과 함께 은행권 자체 주담대 증가도 원인으로 작용했다”면서 “관계부처간 협의, 금융권과의 긴밀한 소통 등을 통해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4월 중 은행 기업대출은 전달보다 7조5000억 원이 늘어난 1284조6000억 원을 기록하며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대기업대출은 배당금 지급 관련 자금 수요와 1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의 영향으로 운전자금을 중심으로 전달보다 6조5000억 원 증가했다. 중소기업대출은 은행권의 대출영업 강화와 부가가치세 납부(4월 25일) 수요 등으로 5조4000억 원 늘어 증가세가 지속됐다.

자산유동화증권(ABS)을 제외한 회사채는 만기도래 규모가 확대된 가운데 연초 대규모 선발행의 영향이 지속되고, 은행대출 활용 확대 등으로 순상환(-2조5000억 원)으로 전환됐다. 반면 기업어음(CP)·단기사채는 3월말 상환됐던 물량이 재발행되면서 큰 폭(3조6000억 원) 순발행으로 전환했다.

지난달 은행 수신 잔액은 2329조600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32조8000억 원 감소했다. 특히 수시입출식예금은 부가세 납부, 배당금 지급 등을 위한 기업자금 인출 등으로 전달보다 45조 원이나 급감하며 감소로 전환됐다. 정기예금은 만기도래한 법인예금이 유출되면서 전달에 이어 4조7000억 원 감소했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관련태그
은행 가계대출  주담대  증가세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