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지난해 펀드 시장 127조 원 유입...ETF는 전년比 46.6% 증가

채권형 펀드가 시장 주도, 펀드 순자산총액 1100조 원 육박

  •  

cnbnews 김예은⁄ 2025.01.21 15:41:41

지난해 국내 펀드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글로벌 자산 배분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펀드 시장 규모 추이. 사진= 한국금융투자협회 자료 캡쳐

한국금융투자협회는 17일 '2024년 펀드시장 결산' 결과를 통해, 2024년 말 기준 펀드 순자산총액이 1,098.7조 원으로 전년 말 대비 127.3조 원(13.1%)이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금투협은 "다양한 펀드 유형과 투자 지역으로의 자금 흐름이 활발해지며 국내외 투자 환경 변화에 대한 시장의 적응력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 속 채권형 펀드가 시장 주도
채권형 펀드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순자산총액이 전년 대비 34.4조 원(24.9%)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였다. 이와 함께 주식형 펀드는 23.1조 원 증가, 재간접형(17.4조 원), 파생형(14.5조 원) 순으로 성장했다. 자금 순유입 측면에서도 채권형(27.2조 원)이 주도했으며, 주식형(16.2조 원)과 부동산형(13.6조 원) 펀드가 뒤를 이었다.

펀드 유형별 자금 유출입 규모. (단위: 조 원) 사진= 한국금융투자협회 자료 캡쳐

국내 투자 펀드는 순자산총액이 697.3조 원(8.2%), 해외 투자 펀드는 401.4조 원(22.8%)으로 성장했다. 이로써 해외 투자 펀드 비중은 36.5%로 확대(2.9%)되며 글로벌 자산 분산 투자에 대한 수요 증가를 반영했다.

공모펀드 순자산총액은 435.5조 원으로 25.1% 성장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해외 주식형 ETF의 급성장(27.7조 원)이 주요 동력으로, 공모펀드 시장 내 비중이 28.8%에서 53.2%로 확대됐다. 사모펀드는 부동산과 채권형 펀드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663.1조 원(6.4%)을 기록했다.

ETF는 전 유형에서 순자산총액이 증가하며 177.5조 원(46.6%)을 기록했다. 특히 해외 주식형 ETF가 빠르게 성장해 공모펀드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ETF를 제외한 공모펀드는 주식형 감소(△5.2조원) 등과 함께 ’23년 말 대비 순자산총액이 30.8조원 증가(13.6%)했다.

관련태그
펀드  ETF  순자산  채권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