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성동구, 성동형 고령친화도시 조성 박차…1,930억 원 투입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재인증(’24~’28년) 도시로서 ‘모두가 행복을 누리는 스마트 100세 포용도시 조성’ 목표...노인일자리 사업 확대, 경로당 운영 내실화, 스마트헬스케어센터 확충 등 8대 영역 86개 사업 추진,

  •  

cnbnews 안용호⁄ 2025.04.01 15:53:26

성동구가 올해 ‘성동형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1,930억 원 투입한다(지난 3월 ‘송정 스마트헬스케어센터’ 개소식에서 인사 말씀을 하는 정원오 성동구청장 모습). 사진=성동구청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재인증 도시로서 올해 ‘성동형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86개 사업에 1,930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2023년 12월 말 기준 70대 이상 인구가 20대를 추월했으며, 성동구도 노인인구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올해 말 기준 약 5만 1천여 명에 이르러 전체인구의 18.8%에 달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구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선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지난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였으며,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제1기 고령친화도시 조성‧실행계획을 시행했다. 이어 2023년 9월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재인증을 획득,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제2기 고령친화도시 조성‧실행계획을 시행 중이다.

올해는 ‘모두가 행복을 누리는 스마트 100세 포용도시 조성’을 목표로 어르신의 건강하고 안전한 지역사회 지속 거주(AIP) 실현, 어르신 존중 및 세대 통합을 위한 사회 분위기 조성, 노후 준비를 위한 제2의 인생 설계 지원을 중점 추진한다.

세부적으로는 ▲ 외부환경과 시설 ▲ 교통환경 편의성 ▲ 의사소통과 정보 ▲ 고용과 사회참여 ▲ 여가 및 사회활동 ▲ 외부환경과 시설 ▲ 주거환경 안정성 ▲ 존중과 사회통합 등 8대 영역에서 총 86개 사업을 추진하며, 총 1,93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지난해에는 사근스마트헬스케어센터 개관, 성동형 지역사회 지속거주(AIP)를 위한 낙상 방지 안심돌봄사업, 성공버스(성동형 공공시설 셔틀버스) 도입을 중점 추진한 바 있다.

먼저, 어르신들의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자립 지원을 위한 노인일자리 사업 확대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총 42개 사업단의 어르신 2,250여 명이 노년의 활기찬 삶을 누리며, 지역사회와 활발히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성동시니어 종합안내서’를 제작 및 배포해 복지정보 및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노후화된 어르신 복지시설 환경 개선, 경로당 중식 지원 개선을 위한 운영비 추가 지원 등 경로당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등 어르신 삶의 질 향상에도 힘쓸 계획이다.

또한, 사근동, 송정동에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왕십리2동에 스마트헬스케어센터를 추가 개소하는 등 스마트헬스케어센터도 지속 확충할 예정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초고령사회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을 비롯한 구민 모두가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성동형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힘쓰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주민 일상을 세심하게 보듬는 맞춤형 정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여 든든한 포용도시 성동을 완성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성동구  정원오  고령친화도시  WHO  스마트100세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