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그룹은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경영난이 예상되는 수출입 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총 10조 2천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현재 시행 중인 2조 9천억 원 규모의 기존 프로그램에 더해 향후 7조 3천억 원을 추가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현재 가동 중인 지원 프로그램에는 수출기업 및 협력기업 대상 2조 3천억 원 규모의 금융지원이 포함된다. 이에는 신용보증기금과 연계한 우대보증서 지원, 반도체·자동차 등 피해 업종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상생대출 확대가 포함돼 있다.
무역보험공사 보증서를 담보로 한 대출도 2,700억 원 규모로 진행 중이다. 수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협력사 운전자금을 대상으로 하며, 중소기업은 최대 50억 원, 중견기업은 최대 100억 원까지 보증을 받을 수 있고 금리는 최대 3%까지 우대된다.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도 마련됐다. 고환율과 경기 침체에 취약한 소상공인을 위해 지역보증재단과 연계한 2천억 원 규모의 특화 보증서 대출이 제공되며, 저신용·저소득 차주를 위한 장기 분할 대환 및 폐업자 대상 초장기 저금리 상환 프로그램도 700억 원 규모로 추진된다.
가동 예정인 신규 프로그램으로는 총 7조 3천억 원이 배정된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 특별 보증서 대출에 5천억 원, 경영안정을 위한 긴급자금 1천억 원이 포함된다. 특히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에는 최대 5억 원까지 여신을 지원하고, 무내입(만기연장때 원금 일부를 상환 받지 않음) 기간 연장과 금리 및 수수료 감면 등의 혜택도 제공된다. 수출환어음 부도 처리 기간도 최대 90일까지 유예된다.
이외에도 금리 인하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의 금융비용을 경감하고, 외환 수수료 및 환가료에 대한 최대 5% 우대도 시행할 계획이다.
우리금융은 그룹 차원의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실시간 점검과 지원 대책 수립을 진행 중이다. 우리은행, 우리카드, 우리캐피탈 등 전 계열사의 기업 금융 담당자들이 피해 기업을 개별 분석해 맞춤형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배연수 우리은행 기업그룹장은 “산업군별, 기업별로 관세 피해 정도를 정밀 분석해 핀셋형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며 “자동차·철강·반도체 업종 중 미국 수출 비중이 큰 기업을 우선 대상으로 정하고, 추가 대출, 원금 상환 유예, 금리 감면 등 실효성 있는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