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355억 원 규모의 ‘AI 기반 전술개발·훈련용 모의 비행훈련체계’ 개발을 완료하고 국방신속획득기술연구원에 납품했다고 13일 밝혔다. 공군은 군 시범운용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고, 개선점을 도출할 예정이다.
신속원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훈련체계는 국내 최초로 강화 학습 기반 AI를 적용해, AI 가상 항공기가 실제 전술 데이터를 학습하고 스스로 전술을 발전시키는 ‘지속 발전형 훈련 환경’을 구현했다. 이는 공군의 전술 개발 역량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유무인 복합 전력 개발의 핵심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다.
KAI는 이번 개발을 통해 ▲AI 기반 가상 항공기 구현 ▲실제 전술을 반영한 고난도 시나리오 설계 ▲VR·MR 시각화 최적화 ▲국내 최대 규모 시뮬레이터 연동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했다. 또한, 개발 과정에서 ‘애자일 방식’을 도입하여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실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했다.
이번 체계 도입으로 공군은 훈련 공역 제한, 소음 민원, 유지·정비 비용 등의 문제 없이 가상환경에서 실제 전투와 유사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KAI는 이번 사업을 통해 VR·MR 기반의 KF-16, FA-50 전투기 Level D급 시뮬레이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합한 뛰어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S) 역량을 입증했다.
KAI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미래형 훈련체계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 것”이라며, “앞으로 유무인 복합체계와 합성전장훈련체계(LVC) 등 차세대 M&S 핵심 기술 개발을 주도하여 우리 군의 미래 전력 구축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 문화경제 김한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