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17일 '2025 전자기전 워크숍'에 참가해 전자전 항공기(이하 전자전기) 형상을 공개했다. 이달 초 방위사업청에 '한국형 전자전 항공기' 체계개발 사업 제안서를 제출한 KAI는 이번 행사에서 독자적 기술 기반의 원거리 전자전기(SOJ)를 선보였다.
KAI가 공개한 전자전기는 40여 년간 축적된 항공기 개발 역량과 기술력이 집약된 결과물이다. KAI는 민간 항공기를 군용기로 전환하는 백두체계 2차 사업을 주관했고, 보잉 737 기반의 항공통제기와 P-3CK 해상초계기 등 다양한 특수목적기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에 최적화된 전자전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KAI는 전자전 임무 특성과 기본 플랫폼인 봄바르디어 G6500의 동체를 고려해 전자전 장비를 항공기에 완벽하게 통합하도록 설계했다. 동체 양 측면에 장비를 장착하는 설계를 채택해 항공기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고 안테나 간섭을 줄였다. 이는 미 공군의 EA-37B와 유사한 수준의 외부 돌출로, 임무 능력과 비행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다.
KAI는 이번 형상 공개가 대한민국의 독자적 전자전 역량 확보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KAI 관계자는 “전자전기는 AI를 탑재하는 등 미래지향적으로 설계됐다”며 “모든 요소가 집약된 결과물로, KAI의 기술적 도전과 성과를 알리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 문화경제 김한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