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이철호 복지칼럼]춘궁기(春窮期)를 기억하십니까?

  •  

cnbnews 제426호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 2015.04.16 09:18:00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CNB저널 =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봄이 온다는 꽃소식에 모두들 들뜬 마음이다. 어딘가 훌쩍 떠나 붉게 물든 동백섬이나 진달래, 철쭉이 흐드러진 산등성을 걷고 싶다. 그러나 이렇게 아름다운 시절을 배고픔으로 신음해야 했던 때가 우리에게도 있었다. 내가 중학교를 다닐 때만 해도 봄은 잔인한 계절이었다. 지난 가을 수확한 곡식은 거의 떨어지고 보리알이 영글기까지 먹을 게 별로 없는 배고픈 시기였다. 넘기 어려운 보릿고개였다. 지금 우리는 그때를 거의 잊어가고 있지만 북한 주민들은 아직도 일 년 중 지금이 가장 어려운 때이다.

생각이 여기에 미치면 우리의 식생활 태도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에 공급되는 식량의 1/3이 버려진다고 한다. 그 중 가장 큰 부분이 가정에서 버려지는 음식이라고 한다. 대용량 판매로 값싸게 팔리는 음식을 필요 이상으로 구입하여 냉장고에 쌓아 두었다가 버리는 음식이 도를 넘고 있다. 가정이나 식당의 먹고 난 밥상에서 음식 쓰레기를 수북이 걷어내는 것은 이제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 국내 생산으로는 필요한 식량의 절반도 생산하지 못하고 곡물의 3/4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나라에서 이래도 되는 것인지 묻고 싶다.

6.25 동란을 겪으면서 우리는 우유를 먹지 않는 민족에서 우유를 먹는 민족으로 바뀌었다. 극심한 기아선상에서 미국이 원조한 탈지분유를 물에 타서 끓인 우유죽이 유일한 먹을 거리였으므로, 먹고 설사를 하면서도 우유죽을 매일 먹었다. 우리 국민의 80% 이상이 선천적으로 우유에 들어 있는 젖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유당불내증을 가지고 있으나 전쟁 중에 우유죽을 계속 먹다보니 젖당을 소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전쟁의 특수상황이 아니었더라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이었다. 전후 가장 빨리 성장한 식품산업이 밀가루와 우유를 이용해 만드는 빵과 과자 제조업이었다. 6.25 동란은 이렇게 우리의 식습관을 크게 바꿔놓은 배고픔의 역사였다.

버리는 음식 처리비용만 9천억원.
아낀 음식으로 북한 도와 통일 앞당기자

식품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1980년 이후 5년 동안 한국인의 식생활은 크게 변해 일인당 1일 동물성식품 섭취량이 98g에서 183g으로 2배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국민의료보험의 진료 건수가 1.8배 증가한 반면 당뇨병 환자 수는 5.3배, 암 환자 2.3배, 고혈압 환자 2.6배, 심장병 환자 수는 3.3배 늘어났다. 보릿고개에서 못 먹었던 것을 보상이라도 받으려는 듯 기름진 음식을 포식한 결과로 비만과 성인병의 만연이 사회문제가 되었다.

▲한 아파트 단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육류를 비롯한 동물성식품의 소비증가는 계속돼 1995년에는 일인당 1일 230g, 2005년도에는 270g으로 늘었고, 이에 따라 사료 곡물의 수입이 늘어 식량 자급률은 급감했다. 결국 식량을 수입해 사료로 쓰고, 동물성 식품을 과다 섭취해 성인병에 걸리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다시 비싼 약을 수입해 먹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비경제적인 식습관과 낭비 풍조는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은 연간 500만 톤 수준으로 이를 처리하는 비용으로만 9000억 원이 소요된다고 한다. 무상급식으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연간 약 11만 톤으로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약 140억 원이 든다는 국회 보고가 있다. 굶주림에 허덕이는 북한 어린이를 생각하면 이건 도리가 아니다. 남한의 식량낭비를 줄여 북한의 기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요즘 통일 준비를 위해 온 나라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북한의 식량 문제는 우리가 최우선으로 다루어야 할 통일 과제이다. 남과 북이 떨어질 수 없는 동포이고 다시 합쳐야 할 한 민족이라면 정치적 상황과는 별도로 북한 주민에 대한 식량 지원이 이루어지는 통로가 만들어져야 한다. 춘궁기를 잊어버린 남한 사람들에게 이 일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식량 부족은 인간이 참기 어려운 가장 처절한 비극이다. 그래서 식량지원은 통일을 앞당기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정리 = 최영태 기자)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