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가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8년 만에 왕좌를 탈환했다.
이는 2015년 이후 8년 만으로, BMW는 2016년부터 7년 연속 수입차 판매량 1위를 차지한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를 밀어내고 정상에 섰다. BMW는 7만7395대를 판매하며 7만6697대를 판매한 벤츠를 698대 앞섰다.
이날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BMW는 5시리즈를 앞세운 강세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수입차 1위를 지켜왔다. 2018년 대표 모델이던 5시리즈의 화재 사건으로 판매량이 움츠러들었던 BMW는 2021년부터 벤츠와의 격차를 좁히며 결국 지난해 판매량을 역전했다. 특히 최근 SUV 인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BMW가 갖춘 7종 SUV라인업인 X시리즈(X1~X7)가 시장 변화의 수혜를 입고 약진의 발판이 됐다는 분석이다.
2016년 왕좌를 탈환했던 벤츠는 E클래스의 인기를 힘입어 7년간 수입차 1위를 지켜왔지만, 벤츠의 대표 모델이자 2019년 4만대 가량 팔리던 E클래스 판매가 2만대 선으로 내려오며 BMW에 선두를 내줬다.
다만, 벤츠의 E클래스는 2만3642대를 판매하며 올해 베스트셀링카 지위를 유지했다. 2위는 BMW 5시리즈(2만1411대), 3위는 벤츠 S클래스(1만1017대)다.
국내 수입차 판매량 3강 체제를 지켜온 아우디는 지난 해보다 16.5% 감소한 1만7868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가운데, 볼보가 지난 해 대비 17.9% 약진하는 1만7018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아우디의 턱밑까지 추격했다. 볼보는 수입차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된 내비게이션 불편을 300억 원 들인 통합 티맵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해결하는 등 가격 대비 우수한 편의 사양으로 높은 평가 받고 있다.
포르셰는 평균 판매 단가가 1억5000만 원에 달하는 고가 브랜드임에도 불구하고, 2014년 국내 법인 설립 후 처음으로 수입차의 흥행 기준이라는 1만대 판매를 넘어섰다. 이에 순위도 폴크스바겐과 미니를 제치고 순위도 7위로 약진했다.
한편,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차 연간 판매량은 27만1034대로 2022년 연간 28만3435대보다 4.4% 감소했다.
정윤영 부회장은 “2023년 수입 승용차 시장은 일부 브랜드의 물량부족 및 신차출시를 앞둔 재고소진 등으로 2022년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