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9월 프로그램 소개

야간개장 시간, 전시품을 다양한 시각으로 만나다

  •  

cnbnews 안용호⁄ 2025.09.01 15:25:13

선사고대관 고구려실 전경.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고대 그리스 청동투구, 기원전 6세기, 국립중앙박물관(1994년 손기정 기증), 보물.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9월에는 같은 전시품을 여러 큐레이터가 각기 다른 시각에서 해설하여 관람객이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 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태조 어진 복제품, 조선1실.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첫 번째는 ‘어진’이다. 조선1실에서 9월 3일에는 <조선시대 어진 제작의 전통>, 9월 10일에는 <어진의 제작>이라는 주제로 진행한다. 조선시대 어진 제작의 연원과 계승 과정을 중심으로 한 작품 해설과 어진 제작에 참여한 인물과 실제 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조명하는 해설을 비교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광개토대왕비’이다. 9월 10일 역사의 길에서는 <어느 왕의 이야기, 대대손손 전하다>, 9월 24일 고구려실에서는 <광개토왕비와 탁본 이야기>를 진행된다. 전자는 광개토대왕의 일대기가 오늘날까지 전해진 과정을 중심으로, 후자는 탁본에 담긴 역사와 의미를 중심으로 광개토대왕비를 살펴본다.

세 번째는 ‘가야’이다. 가야실에서는 9월 3일 <가야의 말갖춤>, 9월 24일 <가야의 상형토기>가 진행된다. 각각의 전시품을 중심으로 가야 문화를 조망하여 가야를 더욱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선사고대관에서 <고구려의 남진경영>, <바다를 건너온 유리구슬>, 조각공예관에서 <감산사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 <중심과 주변, 철불로 보는 지역성>, 어린이박물관에서 <박물관에는 어떤 직업이 있을까?>, 역사의 길에서 <경천사 십층석탑의 보존과 복원>이 이어지고, 특별전 <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두 발로 세계를 제패하다>에 관한 해설도 계속된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

관련태그
국립중앙박물관  유홍준  큐레이터와의 대화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