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정용기)가 사업장 내 안전사고 제로(0)를 위해 ‘생성형 AI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고 26일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이 플랫폼은 기존 서류 중심의 안전관리 업무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집단에너지 분야 최초의 생성형 AI 시스템이다. 공사 직원뿐만 아니라 협력업체까지 활용하도록 설계돼 있으며, 사업장 내 모든 근로자의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로운 플랫폼의 핵심은 생성형 AI 기반 질의응답 기능이다. 사용자가 안전업무 관련 질문을 입력하면 사내 규정, 법률, 사고사례 등 내·외부 자료 9000여 건을 학습한 AI가 정확하고 신속한 답변을 제공한다. 아울러 내년부터는 음성인식기술을 도입해 좀 더 효율적이고 편리한 현장 업무를 지원한다.
또 기존 서류 업무의 디지털화와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을 반영한 주요 기능 50개를 개발, 안전작업허가서·위험성평가 등 각종 안전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토록 했다. 공사는 이를 통해 현장 작업을 위한 안전서류 작성 시간이 기존 대비 약 64%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주요 업무기능의 모바일화로 근로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활용해 공간 제약 없이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토록 했다. 이는 발전·열생산시설, 도심 내 열수송시설, 사용자 기계실 등 집단에너지사업의 현장 중심 업무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해 현장 의견을 지속적으로 시스템에 반영할 계획이며, 지능형 CCTV나 사물인터넷(IoT) 장비 등 스마트 기술과 연계한 실시간 현장관리 기능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용기 사장은 “AI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도입으로 내부 직원은 물론 협력사의 안전수준을 높이고, 안전업무 고도화를 통해 산업재해 예방에 적극 노력할 것”이라며, “안전업무의 AX(인공지능 전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근로자와 시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스마트 한국지역난방공사’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