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 용길이네 곱창집' 도쿄 성황리 개막! 11월 서울 예술의전당 무대 오른다

예술의전당과 일본 신국립극장 공동 제작, 재일교포 극작가 겸 연출가 정의신의 특별한 만남

  •  

cnbnews 안용호⁄ 2025.10.14 10:37:43

야끼니꾸 드래곤: 용길이네 곱창집 포스터. 이미지=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과 일본 신국립극장이 공동 제작한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 용길이네 곱창집>(작·연출 정의신)이 지난 10월 7일 도쿄 신국립극장에서 성황리에 막을 올렸다. 첫 공연부터 기립박수와 객석의 뜨거운 눈물을 이끌어낸 이 작품은 현지 언론과 관객의 호평을 받으며 본격적인 투어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작품은 오는 11월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 한국 관객과 만난다.

<야끼니꾸 드래곤>은 2008년 예술의전당 개관 20주년과 일본 신국립극장 개관 10주년을 기념해 탄생한 작품으로, 재일한국인 2.5세인 정의신 연출이 자신의 삶과 시대적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연출했다. 14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 이번 공연은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정의신 연출은 사회적 약자와 이방인의 삶을 섬세한 시선으로 그려온 일본에서 손꼽히는 최고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다. 2023년 5월 영화 <기생충>을 연극으로 각색·연출해 도쿄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했다. 작품 배경을 일본 간사이 지역으로 바꿔 사회적 모순과 불평등, 인간의 본질을 통찰하는 예리한 시선으로, 현지 언론과 관객의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은 정의신의 작품 세계를 그대로 응축시켜 놓은 수작으로 재일교포의 삶과 정체성이 섬세하게 녹아있는 사실주의 연극의 정석이다. 정의신 연출은 지난 8월 일본 제작발표회에서 “이번 2025년 공연에는 한국과 일본의 초연 멤버들이 다시 모였다. 초심으로 돌아가 새롭게 다듬어진 <야끼니꾸 드래곤>을 선보이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작품은 1970년대 일본 간사이 지방을 배경으로, 전쟁으로 한쪽 팔과 아내를 잃은 용길이 곱창집을 운영하며 힘겹게 살아가는 재일한국인 가족의 이야기를 그린다. 곱창집은 용길의 용(龍)을 따서 ‘야끼니꾸 드래곤’이라 불린다. 용길의 전처의 두 딸, 재혼한 아내 영순, 그리고 영순이 데리고 온 딸과,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아들까지, 고단한 현실과 장애와 차별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재일한국인 가족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이야기를 웃음과 눈물이 교차하는 깊은 감동으로 선사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막이 오르기 20분 전부터 배우와 악사들이 무대와 객석을 오가며 미리 관객을 맞이한다. 고기를 굽는 냄새, 흥겨운 연주가 어우러진 프리쇼(Pre-show)를 통해 관객은 극이 시작되기 전 이미 곱창집 손님으로 초대되어, 작품의 일부가 된 듯한 색다른 경험과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정의신 연출은 이번 공연의 특별한 관람 포인트로 프리쇼를 꼽으며 “공연 시작 전 20분과 인터미션 15분 동안 두 명의 악사가 장구와 아코디언으로 직접 들려주는 흥겨운 음악을 꼭 즐겨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무대에는 2008년 초연 멤버와 새롭게 합류한 한국과 일본의 연기파 배우들이 총출동한다. 아버지 ‘용길’ 역은 드라마 <나의 아저씨>, 연극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등에서 묵직한 존재감을 보여온 이영석이 맡는다. 어머니 ‘영순’ 역은 연극 <헤다 가블러>, <엘리펀트 송> 등에 출연하며 정의신 연출의 페르소나로 활약해온 고수희가 무대에 선다. 시즈카의 약혼자 ‘윤대수’ 역은 영화 <대가족>,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서 개성 있는 연기를 선보인 박수영, 단골 손님 ‘오일백’ 역은 정의신 연출 작품에 가장 많이 출연한 김문식이 맡는다. 가수를 꿈꾸는 셋째 딸 ‘미카’ 역에는 신예 정수연이 합류해 활력을 불어넣는다.

일본에서는 초연 멤버이자 국민배우로 불리는 치바 테츠야가 둘째 사위 ‘테츠오’ 역으로 다시 무대에 올라 극의 무게감을 더한다. 둘째 딸 ‘리카’ 역은 TV드라마 소설 <바람의 하루카>(NHK)에서 여주인공을 맡아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드라마 를 비롯해 무대,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약하고 있는 무라카와 에리가 맡았다. 첫째 딸 ‘시즈카’ 역은 영화 <박치기>로 데뷔해 연극 <줄리어스 시저>, <세일즈맨의 죽음> 등에 출연한 재일한국인 3세 배우 지순이 맡았다. 이 외에도 사쿠라이 아키요시(단골손님 ‘신키치’), 마츠나가 레이코(시청 직원·하세가와 부인 1인 2역), 박승철(아베), 최재철(사사키), 이시하라 유우(하세가와), 키타노 히데키(토키오)가 무대를 채운다.

특히 고수희, 박수영, 김문식, 치바 테츠야는 2008년 초연 멤버들로, 이번 공연은 초연 멤버의 귀환과 새로운 배우들의 합류가 어우러지며 더욱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예술의전당은 “2008년 초연과 2011년 재연 당시 전 회차 매진과 기립박수를 이끌어낸 전설적 명작을 다시 선보이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특히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작인 이번 연극을 통해 양국이 서로의 문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교류를 넓혀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정의신 연출은 “한일 수교 6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에 공연할 수 있어 감회가 크다. 재일한국인들은 역사의 격랑 속에서 씩씩하게 살아왔다.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을 통해 한국 관객들이 재일한국인들의 역사와 삶을 생각해 준다면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이 될 것”이라 전했다. 이어 ”이번이 마지막 공연이 될 수도 있는 만큼, 많은 관객이 함께해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도쿄 신국립극장에서 성공적으로 막을 올린 <야끼니꾸 드래곤: 용길이네 곱창집>은 오는 11월 14일(금)부터 11월 23일(일)까지 단 9일간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 공연된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

관련태그
예술의전당  야끼니꾸 드래곤: 용길이네 곱창집  CJ 토월극장  정의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