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정용기)가 창립 40주년을 맞아 지난달 31일 ‘2025 [새로:한난]’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성취의 40년, 혁신의 40년’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난 40년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달려갈 미래 40년의 차원 도약 시작을 알리는 자리로 마련됐다.
[새로:한난]은 정용기 사장 취임 후 경영위기 극복과 침체한 조직 분위기 쇄신을 위해 2023년부터 추진한 혁신사례 발표회다. 올해로 3회째. 매년 직원들 참여가 증가하면서 올해는 공모과제접수가 총 422건에 이르는 등 공사 혁신의 산실로 자리매김했다.
이날 행사 중 열린 미래비전 선포식에선 미래 차원 도약을 위한 공사의 중장기 가치와 전략체계를 공표했다. 이어 진행된 혁신사례 발표회에선 본선에 진출한 9건의 우수 혁신사례가 340명으로 구성된 현장 평가단 앞에서 발표됐고, 실시간 투표를 통해 그 순위가 결정됐다.
혁신사례로는 발전소 운전점검 매뉴얼을 디지털화함으로써 실시간 발전소 운영 네비게이션을 개발한 사례, 소상공인의 전기 사용량과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요금제를 추천한 사례, 안전 관련 법령과 서류작성 업무를 스마트 플랫폼화해 법령 위반 가능성을 낮추면서 업무 편의성도 높인 사례 등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올해 처음 열린 AX(AI 대전환) 실전 경진대회 ‘Show me the AI’에선 직원들이 각자의 AI(인공지능) 활용능력을 자유롭게 발표하는 무대가 펼쳐졌다. 공사의 마스코트인 ‘따소미’를 활용해 이모티콘을 만들고 홍보영상을 제작한 것부터 각종 가중치와 실적을 기초로 미래의 계통한계가격(SMP)을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한 사례도 소개됐다.
정용기 사장은 “AI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피할 수 없다면 혁신과 성장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AX 실전 경진대회를 통해 직원들의 준비된 역량과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혁신사례 발표회를 통해선 현장의 작은 아이디어가 전사적인 업무혁신으로 이어지는 것을 봤다”고 말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