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들의 접근 철저히 차단, 북한주민 출입 엄두도 못내 공관 생활하며 가장 큰 애로점은 식료품과 생필품 구하기 근무시간 끝나고 평양에서 즐길 만한 문화·오락시설 없어 외교관들 불만 잠재우려 단풍철에 묘향산·금강산 관광등 주선도 북한에 주재하고 있는 대사관중 규모나 시설 면에서 가장 뛰어난 곳은 역시 중국과 러시아대사관이다. 대사관의 위치 역시 평양시내에 위치해 있고, 다른 대사관들의 경우 평양시내와는 거리가 있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북한이 외교관계에서 두나라에 비중을 두는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이들 대사관은 당연히 북한의 평양에 거주해 있다. 물론 다른 나라의 외국대사관이나 영사관들도 평양에 모두 위치해 있다. 북한민주화운동본부를 비롯한 북한인권단체들에 따르면 북한과 수교한 146개국 중 평양에 상주해 있는 대사관을 두고 있는 국가는 23개국이며 겸임 대사관은 65개국에 이른다고 한다. 겸임 대사 중 거의 대부분은 중국 베이징 주재 대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1996년 이후 북한과 수교한 15개국 가운데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서울·평양 주재 대사를 겸임하고 있으며 영국 대리대사가 서울에 상주하며 평양의 업무도 관장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탈북자들의 여러 증언을 들어보면 대사관주변에는 높은 담장과 전기철조망이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일반인들의 접근을 철저히 차단하기 위한 시설이며 당연히 북한주민들의 출입은 엄두도 낼수없다. 현재 평양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공관들은 이구동성으로 식료품과 생필품 구하는 일에 혀를 내두른다. 공관에서 생활하며 가장 큰 애로점이 바로 식료품과 생필품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식료품을 마련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고 한다. 물론 외교관들을 전문으로 하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물품이 거의 없고 그나마 물품공급이 제때 이뤄지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거기다 천정부지로 높아지는 가격 때문에 외교관들은 삼중고를 겪고 있다. 그래서 평양의 외교관들은 베이징이나 홍콩 등지로 출장 나가는 동료 외교관에게 부탁을 하거나 북한을 방문하는 자국 대표단 등을 통해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우스꽝스런 모습마저 나타나고 있다. 평양시 낙랑구역(남한의 區에 해당)의 통일거리에 있는 시장이 외국인들의 발걸음이 잦은 최대 종합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 시장의 경우 외국인 이용이 허용되어 많은 외국인들이 찾는다고 한다. 북한당국이 이같은 시장을 조성한 것은 대부분의 외교단지가 낙랑구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교관들을 위해서 조성했다고는 하지만 이 시장을 이용하는 고객은 대다수가 북한주민이라고 한다. 요즘 들어서 남한의 물건도 상표가 그대로 부착된 채 유통되고 있다고 한다.
‘평양 맛집 가이드북’은 외교관들과 평양주재 외국인들을 위해 만든 책이다. 이 책에는 외국인과 북한의 고위층들이 출입하는 50여 곳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음식점들이 소개됐다. 햄버거, 핫도그, 미국 식 음식과 일식 초밥, 중국식 샥스핀, 날치알 샐러드 및 한국의 냉면, 비빔밥, 각종 야채요리 등 동서양의 각종 별미를 맛볼 수 있는 평양 소재 유명 음식점이 총망라돼 있다. 하지만 북한의 전력난으로 일부 식당은 겨울철에 난방이 안 된 상태로 음식점을 개점하고, 심지어 북한이 자랑하는 고려호텔의 경우 일본식 정원이 있는 식당에서 햇볕이 따스한 날에 음식을 맛보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쥐들을 주의해야 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퍼져 있다. 외교관들은 근무시간이 끝나고 밤이 되어도 평양의 거리에서 즐길 만한 문화·오락시설이 없다. 어느 나라에서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인터넷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가 매우 제한되어 있고 사용료 역시 고가여서 마음 놓고 사용한다는 것이 상황적으로 어렵다. 거기다 외교 단지 역시 전기·수도·난방공급 중단이 빈번해 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평양주재 일부 대사관들은 한때 북한당국의 까다로운 전화통제에 반발하며 아예 위성전화기를 사용하기도 했다. 전기공급의 불투명으로 인한 불편도 있으나 북한당국의 도청을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말도 있다. 외교관들이 주말이면 자가용으로 평양을 벗어나 자유롭게 여행을 하고 싶지만 북한 외무성에 사전 신고하여 허락을 얻어야 하고, 여행지에서의 활동도 자유롭지 못하다. 북한주민들과 함부로 접촉하거나 사진을 찍는 것 역시 사실상 어렵다. 거기다 잘못했다가는 뜻하지 않은 봉변을 당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북한 외무성은 각국 외교관들의 불만을 누그러뜨려 보려고 1년에 몇 차례 외교단을 위한 공식·비공식 행사를 여는 등 나름대로 배려를 하고 있다. 즉 김일성 생일행사인 ‘4월의 봄 친선축전공연’에 초청하거나 가을 단풍철에 묘향산·금강산 관광을 주선하기도 하지만 제한되고 통제된 행사라 외교관들에게 큰 흥미를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국공관들은 북한 권력계층들에 정보제공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외무성과 무역성 등 북한에서 노른자 권력기관들도 외국공관에서 읽고 버리는 영국의 ‘런던타임스’와 ‘가디언’ 같은 일간지, ‘이코노미스트’, ‘타임스’, ‘뉴스위크’ 등 시사주간지를 얻어다 읽는 형편이라고 한다. 북한민주화운동본부가 짐 호어 전 평양주재 영국대사관 대리대사의 말을 인용한 것에 따르면 북한의 주요 병원, 국립도서관, 국가과학원 등에서도 시일이 지난 잡지를 보겠다는 요청을 해와 영국대사관 측에서는 당초 구독조차 하지 않았던 ‘영국과학저널’ ‘오늘의 역사’ 같은 전문잡지를 별도로 주문해 보내줬다고 한다. 이는 북한당국이 30년 전에는 대외관련 부처의 외국출판물 구독을 허용했으나 그후 경제사정 등을 이유로 출판물을 중단시켰고, 외국 출판물의 유입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어 일반 주민은 물론 외무성 등 주요 부처 관리들도 외부정보에 목말라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북한은 외국대사관의 내부 동정과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 수집과 외화벌이 차원에서 통역·운전·청소·정원 관리 등을 위해 북한주민의 대사관 고용을 무조건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외국대사관의 북한주민 고용은 오히려 자본주의 문물의 유입을 막으려는 북한당국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창구’역할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동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