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이명박, 부시 단독면담 위해 9월초 訪美

訪美 부시면담 이어 힐러리, 페로시 하원의장 만나 한미현안논의

  •  

cnbnews 제32호 ⁄ 2007.08.27 11:50:49

“2002년과 같은 대세 판단은 다시는 하지 말아야 한다” -美 정부관리자 “베이징 올림픽성공과 한ㆍ중우호 지속을 위해 대선 판세를 잘 파악해야 한다”-中 당국자 오는 12월 대선 판도와 흐름을 읽기 위한 미국과 중국의 노력이 치열하다. 두 나라 정부는 대선 유력 주자들의 정치 성향, 외교 인식, 인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가운데 정권교체의 가능성이 높아지자, 미국 중국 양국은 한나라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명박 후보에게 러브콜을 던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이명박 후보는 9월초 미국 방문 길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미국 방문 길에 자신을 지지해준 동포들과 만나는 한편, 부시 대통령을 포함해 미정계 인사들도 만나 한미동맹 강화와 대북문제를 포함해 FTA, 무비자 실시 등 현안 사항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워싱톤DC의 한 소식통은 “빠르면 이달 초에도 이후보의 워싱턴 방문이 이뤄질 수 있다”면서 “현재 미국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 중에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가장 중요한 현안은 백악관의 일정이다. 한국의 야당 대통령 후보 자격으로서 미 정계 지도자들을 만나는 일정이라 신중을 기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한국 대선후보자 최초로 미국 대통령과 면담이 잡혀있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지난 6월 11일부터 15일까지 4박5일 짧은 기간 동안 미국을 방문키로 한 일정이 갑자기 취소됐다. 지난 2002년 대선에서 쓰라린 경험을 한 미국정부는 모든 채널을 동원, 정보를 수집해왔으며, 특히 유력한 대선후보중 하나인 이명박 전 시장을 한국 대선후보로서는 사상 첫 백악관 방문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버시바우 주한 미대사는 지난 6월4일 오전 7시30분 서울의 한 호텔에서 통역과 배석자 한 명씩 대동한 채 마주앉아 두 사람은 1시간30분에 걸쳐 아침식사를 함께 하며 부시대통령 면담일정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측은 비밀리에 11일 방미하기로 하고 참모진과 부시 면담에 대한 자료를 수집 점검에 들어갔다. 그러나 미국 정부측에서 부시 대통령의 일정이 변경돼 면담이 연기됐다는 통보를 전했다. 이 후보는 訪美중 워싱턴 정가에 참여정부 들어 거리감을 두고 있는 한미외교를 다시 회복하는 한편, 한미상호간 북핵해결 등 남북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었다. 이와함께 이 전 시장은 訪美중 로스앤젤레스를 방문, 교포들과의 대화를 통해 교포 권익증진에 대한 의견 교환을 통해 250만 여명에 달하는 재외교포의 표 모으기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한편 미국과 중국은 한국 대선을 놓고 정보 수집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 서울은 미국과 중국의 정부 관료들과 정보요원들의 요람이다. 2002년 대선 때 반미 이슈는 미국 외교의 좌절과 낭패의 상징이었다. 이런 경험 때문에 미국 측은 주자들의 면모를 깊숙이 파고 들고 있다. 특히 2002년 미선·효선양 사건이 반미 정서로 급속히 확산됐고, 노무현 정부의 탄생 예측 실패로 외교상 큰 어려움을 겪게된 게 미 정부가 올해 대선에 민감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이유다. 일부 주자들은 “북한 김정일 정권이 한국의 대선 때 개입하지 않도록 예방해 달라”는 식의 요청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목표는 김대중 정권 이래 10년 가까이 진행되고 있는 한국 내 친중 분위기를 차기 정부에서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념상 친미적인 한나라당 정권이 등장하더라도 중국의 영향력이 훼손되지 않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박 전 대표가 지난해 11월 방중 때 왕자루이 대외연락부장으로부터 “대통령이 되십시오”라는 덕담과 함께 국빈 예우를 받은 것도 이런 해석과 무관치 않다. 한국 고대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동북공정에서 비롯된 유력 주자들의 불만을 무마하는 것도 중국 측이 유의하는 사항이라고 한다. 미·중 정부의 움직임은 동아시아의 전략적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경쟁의 성격도 있다. 차기 정권이 자주 노선이냐, 친미·친중 노선이냐에 따라 한국과 주변 4강의 관계가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김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