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김성호號,‘business friendly’

국정원, 자원외교 傳令…자원외교 위해 국정원을 국가정보부로 변경

  •  

cnbnews 제59호 김현석⁄ 2008.03.24 16:44:53

끝내 인사청문회의 무산으로 3월 24일 출범한 국가정보원 김성호 원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자원외교 정책을 전선에서 직접 나서서 담당하는 부서로 변신하기로 했다. 김 원장은 또 국정원의 이미지를 이명박 정부에 맞게 명칭 변경에 나서 ‘국가정보부’로 개칭할 계획이다. 김 원장은 이를 위해 국정원을 사정기관 이미지 대신에 기업에 세계경제 동향을 제공하는 한편 산업 스파이를 적발하여 경제부국의 첨병으로 태어나는 기관으로 만든다는 전략을 구사키로 했다. 특히 김 원장은 자원외교를 위해 국내 조직을 대폭 축소해서 경제분야에 전진 배치하여 동아시아·중동·아프리카 등의 지역 담당 부서를 신설, 강화키로 했다. 김 원장은 경제분야를 강화해 일하는 정부에서 일익을 담당, ‘국가정보부가 이제 국제산업정보부’라는 소리를 듣도록 할 계획이다. ■경제실,차장급 격상→자원외교 강화 지금 미국 CIA, 중국 국가안전부 등 세계 강국의 정보기관들은 ‘음지’에서 벗어나 경제부문을 강화하는 등 ‘CIA가 최고’라는 치열한 첩보 전쟁을 벌이고 있다. 흔히 석유를 ‘검은 황금’또는 ‘땅속의 진주’라고 부른다. 석유는 산업화를 거치면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이 되었고, 오늘날 세계경제의 주요 변수다. 이에 따라 석유를 지배하기 위한 강대국의 다양한 음모가 나타나면서 전쟁의 원인이 되었고, 산유국에서는 고통과 수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국제 유가가 사상 처음으로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함으로써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유가 급등은 미국 달러화의 가치하락을 비롯, 나이지리아와 알제리 및 파키스탄의 정정불안, 멕시코산 원유수입 중단설, 미국 원유재고 감소와 한파 전망 등이 겹치면서 촉발됐다. 이처럼 유가는 국제 정세와 맞물려 언제라도 치솟을 ‘만반의 준비’가 갖춰져 있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근본적으로 석유는 한정된 자원이기 때문이다. 지금 석유를 비롯한 천연 가스·석탄·우라늄·구리·아연 등 각종 천연자원을 둘러싸고 전세계는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아프리카·동아시아, 남미 조직 확대 강화 중국은 지난 2004년 전세계 석유소비 증가량의 36%를 차지했다. 2002년에 이미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의 석유 소비국으로 올라섰다. 이제 중국을 앞서는 석유 소비국은 미국뿐이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에너지를 자급자족했던 중국은 경제성장이 본격화되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됐다. 석유와 가스·석탄을 마구잡이로 집어삼키는 중국은 결코 만족하지 못하는 공룡이 돼버렸다. 천연자원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미국과 중국의 대결은 이제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외길까지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도 자원외교를 펼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같은 자원외교가 성공하려면 자원국의 정보를 수집 분석할 분야가 절실하다. 이러한 기관은 국정원밖에 없다. 국정원은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국정원을 새롭게 비즈니스 정보수집 부처로 탈바꿈하고 있다. 김성호 원장은 이를 위해 국정원장 밑에 해외분야·국내분야·북한분야 등 3개분야에 차장급을 앉히고, 북한분야를 축소해 경제분야를 신설하여 4개분야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1급인 경제실장을 차장급인 정무직으로 격상하게 된다.

특히 미·중·러·일 등 4강국과 EU에 집중됐던 해외 조직을 자원이 풍부한 아프리카와 동아시아·중동·남미국 등에 집중 투입할 방침이다. ■조직도 ‘business friendiy’ 국정원은 김성호 원장 취임에 맞춰 기업별로 국외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info.nis.go.kr)도 확대 개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국정원은 1급 이상 고위간부 31명 중 60%인 20여 명을 한꺼번에 교체하는 대폭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 물러난 1급 간부들은 대부분 새 보직을 받지 못했으며, 교육파견 등 별도 유예기간을 거치지 않고 자진해서 옷을 벗고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국내 담당인 제2차장 산하 실장 2명과 대통령직 인수위 전문위원으로 일했던 K씨 등 실세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국내담당 2차장 산하 조직은 물갈이 폭이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담당 파트는 반체제 세력을 조사하는 핵심부서로 과거 서울시장 재직 시절부터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 정치사찰을 하는 등 정치공작에 개입한다는 의혹을 꾸준히 받아왔다. 또 새 정부가 한때 폐지로 가닥을 잡았다가 되살린 대북담당 제3차장 산하 조직도 대북협상 담당 부서가 축소되는 등 대폭 슬림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와 대북담당 파트를 합쳐 1급 자리도 2개나 줄었다. 특히 3차장 산하 조직은 대북 정보수집·방첩 등 전통적인 대북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기능이 오히려 강화된 반면, 남북 교류협력 등 국정원의 본질적 업무영역에서 벗어나 `외도`를 하던 부서들이 폐지에 가깝게 축소된 것으로 전해졌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