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우리집 보유세 제대로 알자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재산세만…6억 원 초과는 종부세 더해야
서울시 개별주택가격 지난해 대비 6.8% 상승

  •  

cnbnews 제68호 김대희⁄ 2008.05.26 14:32:18

올해 보유세 부담은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종부세 등 보유세 부담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의 대출규제로 6억 원 이상 고가주택에 대한 수요가 줄면서 주택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월 29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2008년 공동주택 및 개별(단독)주택 가격공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평균 2.8% 오르는데 그쳤다. 주택유형별 상승률을 보면 공동주택은 2.4%, 단독주택은 4.38%로, 지난 2007년에 각각 22.8%, 6.22%였던 점과 비교해 급감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주택 가격이 사실상 떨어진 셈이다. ■ 보유세,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로 구성… 산출 방식 달라 이에 따라 올해 주택 보유세가 얼마나 부과될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주택 보유세는 공시가격만 알면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만큼, 직접 자기 집의 보유세를 따져보자. 우선 국토해양부 홈페이지(www.moct. go.kr)에 접속해 자기 집의 공시가격을 확인한다. 보유세는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로 구성되는데, 이들 세금은 산출 방식이 다르다.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은 재산세만 내면 되고, 6억 원 초과 주택의 경우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합산해 총 부과세를 납부해야 한다.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 보유자들은 재산세와 지방교육세, 도시계획세만 계산하면 된다. 올해 재산세 과표는 공시가격의 55%다. 재산세율은 과표 금액에 따라 ▲4,000만 원 이하 0.15% ▲4,000만원 초과∼1억 원 이하 0.3% ▲1억 원 초과 0.5% 등이 적용된다. 공시가격 6억 원짜리 아파트라면 55%인 3억3,000만 원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되는 것이다. 3억3,000만 원에 구간별 재산세율을 적용하면 재산세는 139만 원(4,000만 원 이하 6만 원+4,000만 원 초과∼1억 원 이하 18만 원+1억 원 초과 115만 원)이 된다. 지방교육세는 재산세액(139만 원)의 20%로 27만8,000원이다. 도시계획세는 과표(3억3,000만 원)의 0.15%로 49만5,000원이다. 공시가격이 6억 원인 아파트의 총 보유세는 재산세와 지방교육세, 도시계획세를 합한 216만3,000원이다. 다만 3억 원 이하 주택은 5%, 3억 원 초과∼6억 원 이하는 10%로 재산세 세부담 상한선이 있다. 공시가격이 많이 올라도 보유세 부담은 전년 재산세를 기준으로 5∼10% 이상 늘지 않는 셈이다. 공시가격이 6억 원 초과인 주택은 재산세(지방교육세·도시계획세 포함)에다 종부세(농어촌특별세 포함)를 더해 부과세를 내야 한다. 종부세는 6억 원 초과분에 대해 부과되며, 올해 종부세 과표는 공시가격의 90%다. 종부세율은 과표 금액에 따라 ▲3억 원 이하 1% ▲3억 원 초과∼14억 원 이하 1.5% ▲14억 원 초과∼94억 원 이하 2% 등이 적용된다. 공시가격 10억 원짜리 아파트의 경우, 6억 원 초과분인 4억 원에 대해서만 종부세를 물린다. 올해 과표 적용률은 90%다. 중복 부과된 6억 원 초과 재산세는 빼줘야 한다. 4억 원에 대해 구간별 종부세율을 적용하고 6억 원 초과 재산세분을 빼면 종부세는 295만 원이다. 부가세인 농어촌특별세는 종부세액(295만원)의 20%로 59만 원이다. 따라서 공시가격이 10억 원인 아파트의 총 보유세는 재산세(지방교육세·도시계획세 포함) 381만3,000원과 종합부동산세(농어촌특별세 포함) 354만 원을 더한 735만3,000원이 된다. 종부세 역시 공시가격이 아무리 많이 올라도 지난해 보유세 부과분의 3배까지만 세금이 부과된다.

■ 서울시 개별주택가격, 2억 원 초과↑… 2억 원 이하↓ 서울시는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서울 소재 개별(단독)주택 약 40만3,000호에 대한 주택 공시가격을 지난 4월 30일 각 자치구청장이 결정·공시하면서, 개별주택 가격은 지난해 대비 소폭 상승(6.8%)했다고 발표했다. 서울시 개별주택 가격 평균 상승률(6.8%)은 전국 평균 4.38%에 비해 약간 높은 편이나, 지난해 상승률(8.5%)에 비하면 소폭 하락했고, 2억 원 초과 주택은 7.9%∼11.5%로 상승한 반면, 2억 원 이하 주택은 -0.3%∼1%로 소폭 하락하거나 낮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개별주택 가격 변동률은 용산(12.9%), 성동(11.0%), 동대문(9.8%), 종로(9.3%) 등 뉴타운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강북권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강남(3.6%), 서초(5.6%), 송파(5.8), 강동(5.9%) 등 강남권의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올해 공시대상 개별주택은 403,000호로 지난해 대비 9,000호(2.2%)가 감소했다. 재건축·재개발 등 뉴타운 사업 진행으로 개별주택은 2.2%(9,000호) 감소했으나, 공동주택은 전년 대비 2.4%(45,000호) 증가했다. 개별주택 가격별로는 1억 원 초과 2억 원 이하 주택이 35.8%로 가장 많이 차지했으나, 2억 원 초과 주택은 55.7%(224,000호)로 지난해 대비 8.6% 증가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저가인 강북지역 주택의 가격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인 6억 원 초과 주택은 주택가격의 안정화 추세에 따라 지난해(2만호) 대비 소폭(2,000호)으로 증가했으며, 자치구별로는 강남구(6,336호), 서초구(3,571호), 송파구(2,002호), 용산구(1,697호) 순이고, 강남 3개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의 54.6%로 전년(29.7%)대비 소폭(176호) 증가했다. 서울시 소재 개별주택 최고가는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 소재하는 단독주택으로 95억9,000만 원이며, 지난해 대비 4.9% (4.5억 원) 증가했다. 서울시는 개별주택 가격의 적정한 산정을 위한 철저한 현장조사 및 가격검증 강화를 위해 공시대상 개별주택의 특성조사부터 가격결정시까지 자치구와 긴밀한 협의를 하는 한편, 시민고객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개별주택 가격을 열람하고 의견제출이나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 ‘인터넷 의견제출 및 이의신청 제도’를 전국 최초로 도입해 시행한 바 있다. 서울시 세제과 관계자는 “개별주택 가격은 향후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의 부과기준으로 활용되므로 많은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개별주택 가격에 대한 열람 및 이의신청 절차에 참여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