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移通3社 국감장에서 ‘뭇매’

KT, 이통 전산망 불안정 민원…
SKT, 영업조직 불완전판매 질타…
LGT, 전략폰 불량 스캔들

  •  

cnbnews 제139호 박현군⁄ 2009.10.13 16:24:38

이동통신 업계가 최근 몸살을 앓고 있다. 소비자 불만과 민원들이 언론 및 정치권 등에 노출되는 빈도 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정치권의 지적 사항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KT·SK텔레콤·LG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도 어물쩡 넘어가기 힘들 만큼 대형 사고를 하나씩 터뜨리면서 사회의 뭇매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일부 국회의원들은 방통위 국감에서 KT와 SKT에 대한 감사를 벼르고 있으며, 지난달 국회 방통위 소속 의원은 이동통신사들 간에 광고 내용과는 달리 통화품질과 서비스에서 별 차이가 없다는 보고서를 냈다. 또 보조금과 영업 경쟁 과열로 인한 우려감도 국회에서 제기되기 시작하는 등 문제가 하나 둘씩 커져가고 있다. KT-KTF 통합전산망 불안정 KT가 KTF와의 전산망 통합 작업에서 번번이 오류를 내면서 이동통신업계에 피해를 주고 있다.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KT의 이동통신 전산 시스템이 번호이동과 관련하여 불안정한 전산망 복구를 위해 SK텔레콤과 LG텔레콤의 시스템을 다운시켰다가 다시 복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SK텔레콤과 LG텔레콤은 이날 18시간 30분 동안 번호이동 관련 고객 사전동의 시스템이 먹통이 됐다. 이 시간 동안 양사는 번호이동 영업을 전혀 하지 못했다. 현행법 체계상 이동통신업체 가입자가 타사로 이동할 경우 반드시 고객 사전동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이 절차가 강제로 중단된 것이다. 또 LGT·SKT에서 KT로 번호이동을 한 고객들 중에는 KT의 전산장애로 개통이 늦어지면서 자신의 전화번호를 빼앗긴 경우도 속출했다. 이 경우 많은 소비자들이 LG텔레콤과 SK텔레콤의 횡포로 번호를 잃어버렸다는 항의가 들어와 양사를 난처하게 하고 있다. SKT 영업조직 불완전판매 SK텔레콤의 영업조직에 대한 소비자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1일 SK텔레콤 소비자단체 관련 사이트에 따르면, 인천에 거주하는 허영훈(가명) 씨는 “SK텔레콤에 임대폰을 문의했더니 엉뚱한 소리만 해서 시간과 돈만 낭비하고 결국 번호를 이동하게 됐다”고 말했다. 허 씨의 글에 따르면, 그는 인천시 연수동의 한 지점에 임대폰이 있다는 말을 듣고 계양구 자택에서 출발했지만, 사실무근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그리고 고객센터에서 다시 전화를 줄 것이라는 안내를 받았지만, 전혀 연락이 없었다는 것. 허 씨는 “고객센터에서 ‘연수동에 임대폰이 있는데 오늘 가서 확보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간다’고 안내해서 부랴부랴 달려갔더니 사실무근이라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더구나 차후 연락을 주기로 해놓고 연락을 주지 않은 것은 소비자 우롱”이라고 분개했다. 또 다른 고객 이하진 씨는 “영업점에서 가입 시 자기네가 많이 팔고 이익 되는 쪽으로만 유도한다”며, “더군다나 가입 당시 기계값 분할 납입 등 소비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해 일부 말하지 않은 것도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 영업점의 불완전판매 행위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내용이었다. 또 서울에 사는 박주미 씨는 “휴대폰을 새로 장만한 후 기존에 쓰던 것을 아버지께 드리기 위해 회사 근처 대리점을 찾아 서비스를 요청했으나 고래고래 소리만 들었다”고 말했다. 박 씨는 이와 관련하여 “일 처리를 고객이 불안할 정도로 할거면 서비스라도 확실히 하든가”라며 “두 여직원의 얼굴에서 미소라고는 찾아볼 수 없고, 쌀쌀맞은 게 어디 무서워서 다음에 또 가겠느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KT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을 했다가 전화번호를 빼앗겼다는 민원도 발생했다. 피해를 당한 이모 씨는 SK텔레콤으로 옮겨와 가입비를 두 번 냈을 뿐 아니라, 기초생활수급 증명도 거부당했다며 분개했다. 그는 본지에 “KTF에서 골드 번호를 사용하던 내가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을 했는데, 얼마 후 직권해지당하고 번호를 빼앗겼다”고 호소했다. 골드 번호란 1111·2580·0691 등 직업별·성별 관심도 순에 의해 기억하기 쉬운 전화번호의 조합을 말한다. 이 씨는 제보 글을 통해 “얼마 전에 SKT로 번호이동한 후 통장 잔고 문제로 요금이 조금 밀렸다고 직권해지됐다”며 “번호는 KT에서 이동해왔기 때문에 KT에서 알아봐야 한다는 답변만 받았다”고 말했다. 이 씨는 국가가 지정한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혜택을 거절당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기초수급자 증명서가 통신용이 아니란 이유로 그 다음달부터 가입비와 통신요금을 할인받지 못했다. 결국 울며 겨자 먹기로 가입비를 완납했다”며 “또 (직권해지당한) 이력이 있어도 가입비를 또 한 번 받는 것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캔유’ 전략폰 불량·불법 복제폰 스캔들 LG텔레콤에도 소비자 민원이 쌓이고 있다. 특히 신제품 ‘캔유’에 대한 민원이 심심치 않게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 관련 사이트에 글을 올린 A 씨는 “LG 쪽에 아는 사람이 있어 구매했었다”며 “어느 날 전화를 하다가 배터리가 다 돼서 핸드폰이 꺼졌다가 충전 후 다시 켜보니 폰 초기화에 미등록 단말기로 떴다”고 말했다. 이 사이트에서 또 다른 소비자 B 씨는 “핸드폰이 그냥 꺼지고, 문자 보내고 나서 핸드폰이 멈추고, 멀쩡한 사무실에서 내 핸드폰으로만 문자전송 실패가 계속 뜨고, 길거리에서 서비스 이탈지역이라고 나왔다”며 “한 번 기기교환을 받았는데도 똑같은 증상이 나왔다”고 말했다. 또 LG텔레콤은 불법복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올해 가장 많이 불법복제된 휴대폰이 LG텔레콤이다. 이는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문제가 됐다. 지난 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통신위원회 국감에서 한나라당 안형환 의원은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안 의원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가 운영하는 불법복제 탐지 시스템 FMS에서 지난해 검출된 불법복제 휴대폰 2021대 중 LG텔레콤이 95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KTF가 552건, SK텔레콤이 516건으로 조사됐다. 이와관련, LG텔레콤 김철수 부사장은 국감장에서 “LG텔레콤의 적발건수가 많은 것은 경쟁사 대비 불법복제폰 적발 비율이 높은 것일 뿐 우리 폰이 가장 많이 불법복제당했다고만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에 따르면, LG텔레콤은 모든 휴대폰에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 의원은 “이통사가 FMS를 통해 불법복제를 적발하더라도 방통위에 통보를 해야 하는 법적 규정이 없다”며 “유기적으로 민관이 합동해서 단속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 최시중 위원장은 “지속적으로 단속을 하고 있고 복제방지 시스템에 대한 점검도 실시하고 있다”며 “그런 방향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해, 향후 이통사와 협력하여 단속 체계를 만들 것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