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퍼즐로 풀어내는 손원영의 미술 세계

이미지으로서의 퍼즐, 존재으로서의 퍼즐

  •  

cnbnews 제159호 편집팀⁄ 2010.03.02 15:51:27

글·고충환 (미술평론) 정신병원에서 환자들을 치유하는 방법 중에 퍼즐 맞추기가 있다. 이 치유법은 환자들로 하여금 세계에 대한 조각난 기억의 편린들을 짜 맞춰 복원케 한다. 손원영은 퍼즐을 차용한다. 그의 작업에서 퍼즐은 먼저 형식으로서 드러나고 그리고 의미로서 확인된다. 퍼즐은 그 이면에 수수께끼로 축조된 세계에 대한 인식을 숨기고 있다. 그의 작업은 세계의 어둠, 무질서, 욕망과 대면케 하며 그 세계 속의 잘못된 길, 지워진 길, 없는 길과 직면케 한다. 그리고 바른 길(임의적이고 자의적인 길, 주관적인 길)을 복원시켜주는데 이때 그 과정이나 방법이 정념적이기보다는 논리적이고 무겁기보다는 가볍다. 그 가벼움은 가벼움 자체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 그 이면의 무겁고(이를테면 인간의 실존적 조건 같은) 진지한 것(이를테면 세계의 구조와 같은)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며 방법일 뿐이다. 그러니까 작가의 작업은 일종의 아이러니 화법에 의해 견인되고 있으며 여기서 작품의 독특한 아우라가 발생한다. 퍼즐이 저부조의 형식으로 만들어지는가 하면(릴리프 퍼즐) 사실적이고 재현적인 이미지 위에 덧그려지기도 한다(드로잉 퍼즐). 퍼즐 조각들이 전체 이미지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가 하면 전체 이미지와는 별개로 스스로의 자족적인 존재성을 획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의도적인 일탈이 강조될 때조차 큰 틀 안에서는 부분 이미지로서의 퍼즐 조각이 모여 하나의 상을 이루는 유기적이고 연속적인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이로써 손원영의 작업은 부분과 전체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주지시키며 그 과정을 통해 무엇보다도 관계에 대한 인식을 주지시킨다. 그 관계란 말하자면 주체와 타자, 음과 양, 의식과 무의식처럼 온갖 이질적인 것, 차이 나는 것, 타자들이 서로 어우러져서 존재하게끔 유도하는 일종의 통합의 원리, 통섭의 원리를 일컫는다. 음은 양에 의해 비로소 그 형식을 얻게 되고 양은 음에 의해 그 실체를 얻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나는 일종의 전망이거나 비전이며 그 전망 속에는 네가 들어와 있고 마찬가지로 너의 전망 속엔 내가 내재돼 있다. 이렇듯 작가는 릴리프 퍼즐이나 드로잉 퍼즐 그리고 이 모두를 혼용한 퍼즐 작업으로써 부분과 전체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보여주며 주체와 타자와의 상호 영향(사)적이고 상호 내포적인 관계를 드러낸다. 여기서 퍼즐은 하나의 세계, 대상, 물체, 객체를 이루는 이미지의 최소단위원소, 입자, 모나드, 단자에 해당하며 그 이면에는 부분들의 집합으로써 구조화된 세계에 대한 인식론(특히 원자론이나 알 신화와 관련한)과 함께 특히 이미지의 존재방식에 대한 자의식이 깔려있다. 퍼즐 조각을 이미지의 최소 단위 원소와 동일시하는 작가의 발상이나 태도는 말하자면 인상파 화가들의 색 점이나 인쇄물의 망점, TV 주사선의 광점이나 디지털 미디어의 픽셀 이미지가 갖는 의미와 일면 통하는 것이다.

작가의 작업 중에서 특히 한눈에 디지털 영상을 떠올리게 하는, 사실적이면서도 부드러운 톤의 자연 이미지를 소재로 한 일련의 그림들이 이런 픽셀 이미지와의 연관성을 암시하는 편이다. 주로 만개한 꽃잎의 표면에 덧그린 픽셀(퍼즐) 이미지는 규칙적이고 연속적인 패턴으로 인해 기계적인 느낌을 주며 실낱같이 얽혀 있는 섬세한 망구조가 육안으론 알아볼 수 없는 유기체의 섬유질 구조나 그 결정체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꽃잎의 감각적 표면 현상을 넘어 그 이면의 구조를 드러내 보여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미술사를 차용한 손원영의 근작을 보면 단순한 패러디의 경우를 넘어서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인상파 화가들은 하나의 이미지가 사실은 이질적인 색 점들의 우연하고 무분별한 집합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림을 가까이서 보면 터치들이 중첩된 무의미한 얼룩처럼 보이지만 일정한 거리를 갖고 보면 색점들이 서로 어우러져 비로소 하나의 상으로서 드러나 보이는 것이다. 부분들(터치와 색 점들)이 모여 전체를 이룬다는 이러한 인식은 이후 기계복제 시대의 망점과 전자복제 시대의 광점 그리고 디지털 매체에 의해 지지되는 가상현실 시대의 픽셀 이미지로 연이어지고 변주된다. 결국 작가가 미술사 중에서도 특히 인상파 화가들의 그림을 차용한 이면에는 그로부터 부분과 전체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찾아가는 퍼즐작업의 사실상 뿌리를 발견한 것이다.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