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5호 이상주 역사작가⁄ 2014.02.10 14:06:26
“사람마다 쉬 익히어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할 뿐이다.” <세종실록 28/09/29>
한글과 금속활자, 포털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정보의 공유다. 소수에 의해 주도되던 지식을 대중화한 도구다. 셋의 출현으로 사회는 혁명적인 변화를 맞았다. 한글 창제는 서민과 여성의 교육을 가능하게 했고, 금속활자는 산업혁명의 모태가 됐다. 인터넷은 무한 지식 공유시대를 열었다. 한글은 세종의 지식공유와 소통의 의지였다.
세종의 뜻은 어제(御製)에 분명히 설명돼 있다.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漢字)와 서로 통하지 아니한다. 우매한 백성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뜻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내 이를 딱하게 여기어 새로 28자(字)를 만들었다. 사람들로 하여금 쉬 익히어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할 뿐이다.”
한글이 창제되기 전에는 지식이 한문에 박식한 소수의 전유물이었다. 한자 외에도 향가의 표기글자인 향찰, 관리들의 행정 기록에 주로 사용된 이두가 있었다. 그러나 한자를 빌어 쓴 우리말이기에 배울 수 있는 계층이 한정됐다. 대다수 백성에게는 어려운 한자도, 한자를 활용한 우리말 표현도 손에 넣을 수 없는 그림에 불과했다. 사회는 소수의 식자층과 다수의 비식자층으로 이분화 되었다.
이는 유교통치의 근간이기도 했다. 조선과 중국, 베트남 등 유교 문화권 전통개념에는 성인(聖人) 다음에 군자(君子-대인大人)가 있다. 성인과 군자는 지배층이다. 정신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이다. 그 밑에 소인(小人)이 있다. 피지배층으로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이다.
지배층은 지식과 도덕을 베풀어 어리석은 소인을 교화시키는 게 임무다. 소인은 노동력과 세금으로 대인의 지식 나눔에 대가를 지불한다. 맹자가 생각한 전통 유교사회는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사회적 분업체제였다. 조선의 건국세력인 신진 사대부들이 생각한 국가 모델이기도 했다.
그런데 익히기 쉬운 한글의 보급은 지식의 대중화 가능성을 의미했다. 지식 향유층인 사대부들에게는 위상이 흔들릴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였다. 최만리 등 한글창제 반대세력에는 지배층의 특권 약화, 기존 사회질서의 흔들림을 우려한 심리가 숨어있다. 오랜 시간 공부해야 하는 한문은 지배층만이 향유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과거는 농민도 볼 수 있지만 양반 중에서도 권력을 쥔 계층에서 독점하다시피 한 것은 이 같은 이유다. 세종이 한글 창제 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진행한 것은 지배층의 집단 반발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중국과 유교중심의 세계관에 몰입된 사대부들의 반대는 불을 보듯 뻔했다.
세종은 백성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지식 공유의 차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세자와 수양대군, 안평대군, 정의공주 등 자녀들과 성삼문, 정인지, 신숙주 등 한글창제에 우호적인 일부 학자들의 도움을 받았다. 오랫동안 음운과 문자 연구는 25년(1443년)에 창제 성공에 이어 3년 뒤 반포하기에 이르렀다. 임금은 친히 언문(諺文) 28자(字)를 짓고,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명명했다.
세종의 한글창제는 크게 세 가지 목적이 있었다. 첫째, 전 백성의 교육이었다. 글자를 알게 해 문맹에서 벗어나게 함이다. 쉬운 글 창제는 문자를 몰라 피해 받는 백성이 없게 하는 지름길로 생각했다. 둘째, 충효의 강화를 통한 사회 안정이었다. 정치적 통합의 일환으로 한글을 생각했다. 효행록 등을 간행해 사회에 건전한 기풍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새로운 문자가 필요했다. 셋째, 소통이다. 백성이 글을 알게 되면 생각의 수준이 높아진다. 문화적 상상력이 풍부해진다. 이는 궁극적으로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단절이 아닌 소통의 계기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