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71호 장수종 Meta Space Media Lab 연구소장⁄ 2014.03.24 13:17:25
공공 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공공이라는 개념과 그 공공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성이란 개념이다.
우리의 일상 공간은 자본과 정보, 기술, 조직적 상호작용의 흐름으로 이뤄진다. 아울러 이미지와 소리, 상징의 흐름이 더해진다.
사실, 공간이라는 것은 사실 실존해 있기 보다는 우리의 의식이 세상이라는 정보를 연산하면서 만들어낸 개념이다. 공간이라는 개념은 우리의 뇌에서 구축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상이든 실제든 우리의 감각을 통해서 들어오는 정보는 의리의 의식에서 공간으로 완성된다.
우리의 의식에서 공간으로 완성되는 정보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크게 비어 있는 공간을 설명해주는 보이드 정보와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통해 전달되는 심볼릭 정보, 그리고 사람들의 행동들이 모여 만들어지는 액티비티 정보다.
이 세 가지 정보들은 궁극적으로 공간이라는 하나의 개념을 완성한다. 하지만 공간은 단순한 환경 정보들의 집합은 아니다. 데이터의 문맥과 정보의 의미가 ‘관계’ 라는 구조위에 실려서 사람들과 소통할 때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세 가지로 구분된다. 사람이 직접 오갈 수 있는 물리적 관계와 오갈 수는 없지만 바라보고 지각 할 수 있는 정보적 관계, 그리고 보지도 못하고 가지도 못하지만 개념적으로 연결 될 수 있는 가상적 관계다.
그러나 실제적 공간은 사회적 실천에 의해 구축된다. 이는 공간이 사회의 반영이 아니라 사회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공간의 형태와 그 과정은 총체적인 사회구조의 역동성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 역동성에는 상호 대립적인 이해와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 행위자들 사이의 갈등과 전략에 기인하는 모순적 경향도 포함된다. 사회적 시간의 개념은 반드시 일상적 생활 세계의 확대 재생산에 기여하는 물질적 실천과 그 과정을 통해서만 창출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은 시간을 공유하는 사회적 실천의 물질적인 토대이다. 어떤 물질적 토대는 항상 상징적 의미를 낳으며, 특정시간에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실천들을 한꺼번에 가져온다.
이렇게 다양한 실천들과 복잡한 사회의 요소들이 꼬여있는 공간이라는 개념에서 풀어가는 대다수의 공공 미술 프로젝트에서 사회적 실천의 주체인 지역 주민의 삶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많은 지역 재생 프로젝트와 마을 미술 프로그램, 그리고 커뮤니티 이벤트들은 일상공간에 대한 문제의식 없이 프로젝트들을 너무 단순화시켜 쉽게 풀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