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대학생이라고 하면 누구나 한번쯤은 아르바이트를 경험했을 것이다. 그들이 받는 시간당 임금은 최저임금심의위원회에서 매년 정해진다. 최저임금제는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한 제도이다. 1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에서 이를 지켜야 한다. 최저임금을 주지 않는 사업주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라는 엄정한 처벌을 받는다.
금년의 경우 최저임금은 시간당 5210원이다. 그 동안 6∼7% 정도 꾸준히 오른 금액이다. 어떤 이의 입장에서는 이 금액이 매우 적게 느껴질 것이고 또 다른 입장에서는 이 금액이 상당히 부담스럽고 크게 느껴질 수 있다.
근로자가 풍족하게 쓸 수 있는 액수가 아니라 근근이 생활할 수 있는 금액이다. 그렇기 때문에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입장에서 보면 항상 적게 느껴질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무턱대고 높아질 수 있는 처지도 아니다.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의 경우 근로자에게 최저임금만 주더라도 적자에 허덕이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주인을 걱정하는 아르바이트생들이 있다는 이야기도 어렵지 않게 들린다.
적정수준의 최저임금을 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최저생계비, 사업주의 지불능력, 그리고 소득수준의 양극화 정도 등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역시 근로자들의 노동생산성이다. 생산성이 높아지면 최저임금도 높게 책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지표들을 정확히 계산하기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최저임금을 정할 때 항상 난항을 거듭한다. 정량화해서 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때로는 정치적인 요소가 개입될 수도 있다.
▲6월 26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린 최저임금 현실화 촉구 양대 노총 위원장 기자회견에서 한 참가자가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