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2015년 문·이과 통합형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내용은 고등학교 과학 필수이수단위를 12단위로 하고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확대하는 방안 등을 일부 추가했다. 교육부는 내년까지 교육과정 각론 개발을 마치고 2017년에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계획을 내놓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교육과정 개정은 1차 교육과정 제정 이후 7차 교육과정 개정까지 단 한 번도 통합되지 않았던 고교 문·이과 과정이 합쳐진다는 데에서 이전 교육과정 개정에 비해 훨씬 복잡하고 방대하다. 이를 두고 조령모개(朝令暮改)식 교육정책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조령모개는 본래 한(漢)나라 때 어사대부라는 벼슬자리에 있던 조착이라는 사람이 북방 흉노들이 추수기만 되면 대거 남하해 곡식을 약탈해 가자 ‘논귀속소(論貴粟疏)’, 곡식의 귀함을 논의한 상소문을 올린 데에서 유래됐다.
그 상소문은 “홍수와 가뭄을 당했는데도 갑자기 세금을 징수하고 부역에 동원시키는데, 부역과 세금의 시기가 정해지지 않으면 ‘아침에 영을 내리고 저녁에 고치는 조령모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는 내용이었다. 조착은 법령 제정과 시행에 일관성이 없고 관료 조직의 부패를 통탄했다.
지난달 교육부가 내놓은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통합형교육과정은 문·이과 구분 없이 문과 학생도 과학을, 이과 학생도 사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너무나 당연한 논리다. 그러나 고교생들의 학습량은 더 많아지며, 사교육비도 부담도 커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얼마 전 정치인 출신이 교육부 수장이 되자, 고교 야간자율학습과 월간 모의고사를 폐지하는 등 대대적인 교육개혁을 단행했다. 핵심 중 하나는 특기 하나만 있어도 대학 진학이 가능한 무시험 대학 전형이다. 당시 고교생들은 느슨한 학습 분위기로 학력저하를 가져왔고, 교육정책의 피해자로 남는 또 하나의 사례를 남겼다. 이번에 교육부가 발표한 통합형교육과정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교육정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