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의료 데이터에 투자한 제약사들, '문재인 뉴딜' 덕 보나

한미·녹십자·대웅·광동·보령, 관련 투자 확대 … 정부발 ‘데이터 경제’에 주목

  •  

cnbnews 제680호 이동근⁄ 2020.07.25 09:11:11

몇 년 전부터 제약업계가 공을 들이던 의료데이터 취합이 최근 주목받는 분위기다. 과거에는 민감한 개인 의료정보 논란 때문에 크게 부각되지 않았지만, 지난 6월 14일, 정부가 ‘한국판 뉴딜’을 선언하고, 데이터 산업 육성을 언급하면서 활용 폭 확대 및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국판 뉴딜 투자 본격 착수와 관련된 보고를 했고, 문 대통령은 “힘 있게 추진하라”고 격려했다고 청와대 측은 설명했다. 사진 = 연합뉴스


'에비드넷 투자' 한미약품부터 '자회사 투자' 광동제약까지

 

한미약품 본사. 사진 = 연합뉴스


의료데이터와 관련 현재 가장 주목받는 회사는 한미약품그룹이다. 한미약품그룹 산하 금융투자벤처회사인 한미벤처스는 지난 2018년 SK와 손잡고 의료 데이터업체 ‘에비드넷’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받은 바 있다. 당시 SK와 함께 투자한 금액은 100억 원이 넘었다.

에비드넷은 데이터베이스와 온라인 정보 제공을 주력으로 하는 회사로, 특히 의료 데이터 분야에 특화됐다. 미국 국립보건원와 존스홉킨스대학, 영국 옥스퍼드대학 등에 소속된 전 세계 30여 개국 연구진 350여명이 참여한 연구마라톤에 코로나19 표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성과를 낸 바 있다. 이 데이터 취합은 빌게이츠재단이 후원한 재원으로 마련됐었다.

이 회사는 의료데이터와 관련, 가장 민감한 개인정보 관리 부분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추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미약품 관계사는 “에비드넷은 병원들이 갖고 있는 데이터를 변형, 개인정보 침해 없이 일원화해 가공하는 데 경쟁력을 갖고 있다. 국내 대형병원들하고도 협업하고 있다”며 “의료 데이터를 추출 할 때 개인정보 부분을 확실하게 보안처리하는데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한미약품그룹 산하 한미헬스케어는 지난 5월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 솔루션 ‘퀀텀CRM’을 개발한 바 있다. 이 솔루션은 거래처와 고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해 실시간 업무에 활용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GC녹십자 본사. 사진 = GC녹십자


GC녹십자의 자회사인 GC녹십자헬스케어는 지난 2월 전자의무기록(EMR) 솔루션 기업인 유비케어를 인수했다. 이 회사는 국내 최초로 EMR을 개발한 기업으로 전국 2만 3900여 곳 병·의원과 약국을 포함한 국내 최대 규모 의료 네트워크와 IT 기술을 활용한 B2C 사업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참고로 지난 5월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신고 심사가 다소 늦어진 바 있는데, 현재는 문제없이 인수가 처리됐다는 것이 GC녹십자 관계자의 설명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단순 행정절차 지연이었다고.

이밖에도 상당수 제약사들이 의료 데이타 관련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대웅제약 본사. 사진 = 이동근 기자

대웅제약은 지난해 12월, 네이버, 분당서울대병원과 함께 의료·보건 분야 빅데이터 회사인 ‘다나아데이터’를 설립했으며, JW중외제약은 지난 6월, 삼성서울병원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플랫폼을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연구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광동제약은 지난해 자본금 200억원 출자로 설립한 자회사 케이디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이 접목된 차세대 성장산업 투자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데이터 수집과 관련, 다른 쪽에서 주목받은 회사도 있다. 보령제약의 경우 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고용모델을 개발하면서 업무 중 하나로 빅데이터 자료 수집 및 관리를 맡기고 있다.

‘한국판 뉴딜’로 의료데이타 투자 부각 … 개인정보 논란은 부담

그동안 의료 데이터에 제약업계가 눈독을 들이지 않은 것은 아니었지만, 최근 이 같은 움직임이 부각되는 이유는 정부의 움직임과 관련이 크다.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총 160조 원을 투자한다는 구상을 담은 ‘한국판 뉴딜’을 발표한 것이 대표적이다.

 

광동제약 본사. 사진 = 이동근 기자
보령제약 본사. 사진 = 이동근 기자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이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을 위해 주문한 국가프로젝트인 한국판뉴딜에는 3대 프로젝트로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사업 육성 ▲SOC(social overhead capital, 사회간접자본) 디지털화를 제시했는데, 이 중 의료데이터로 연결될 수 있는 내용들이 적지 않다.

우선 정부가 첫 번째로 제시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관련성이 높다. 실제로 여기에는 데이터 경제 가속화를 위한 데이터 수입·활용 기반 구축 내용이 있는데,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는 6개 분야 중에 의료가 있다. 여기에 비대면 산업 육성, SOC 디지털화 등도 의료 데이터와 연관 될 수 있다.

실제로 의료데이터 관련 투자중인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과도 맥이 닿아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특히 정부는 비대면 산업 육성이 원격의료 활성화로 연결되는 것에는 “의료 취약지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미 하고 있던 원격 모니터링이나 상담 조처를 중심으로 비대면 의료 시범사업을 확대하는 것”이라며 선을 그었지만, 추후 원격의료가 활성화 될 경우 의료데이터는 중요자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른 우려도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개인정보 유출이다. 의료 관련 데이터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담고 있어 유출될 경우 벌어질 사회적 파장이 적지 않다. 실제로 다국적 제약사들이 의료 개인정보와 관련, 접근성을 확보할 때 마다 우려가 터져나온 사례가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지난 2018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DNA 테스트 회사인 23앤드미(23andMe)에 3억 달러(약 3593억 원)를 투자, 정보 독점권을 4년 동안 손에 넣게 됐을 때, 사회적 비난이 일었던 바 있다. 이 정보는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지만, 독점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과 함께, 개인정보가 한 회사에 독점적으로 제공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정책에 얼마나 투자나 정책 지원을 해 줄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일단 ‘한국판 뉴딜’ 선언 만으로도 관심이 몰리는 것은 느껴진다”며 “제약업계에서 보면 의료 데이터의 용도는 무궁무진하다. 신약개발부터 새로운 서비스 개발, 연계 사업 확대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개인정보 침해 우려와 관련된 질문에 “그 문제는 예민할 수 밖에 없다. 한미약품이 투자한 에비드넷이 주목받았던 것도 보안 분야에 강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