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코로나19 송년회·신년회 이래도 될까?... 호텔 룸 쪼개기, 집에서 동창회

호텔 룸 2~3개 잡고 인원 제한 무시, 집에서 지인들끼리 마스크 벗고 동창회

  •  

cnbnews 안용호⁄ 2021.12.31 12:18:18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과 관련해 "연말에 계획한 송년회나 회식, 단체 모임이 있다면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미뤄달라"고 호소했다(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진). 사진=연합뉴스

30일 주부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82쿡’ 자유게시판에는 남편의 송년회 문제로 고민하는 한 네티즌의 글이 올라왔다.

이 네티즌은 “남편이 송년회를 하기로 했는데 밖에서 만나기가 어려우니까 여자 동창네 집에서 음식 시켜서 4명이 동창회 한데요”라며 찜찜한 기분을 드러냈다. 해당 네티즌은 “남편이 그동안 코로나 때문에 안 모이다가 새해 50세 되는 기념으로 동창들이 송년회를 하기로 했다”라고 덧붙이며 궁여지책으로 홈파티 형식을 선택한 남편을 걱정했다.

최근 코로나19 거리두기로 식당 등의 영업시간 및 인원제한이 강화되면서 이를 피해 편법 송년회를 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됐지만, 연말연시를 앞두고 호텔과 리조트 등 숙박시설은 예약이 안 될 정도이다.

특히 숙박업소의 경우는 룸을 2개 이상 잡고 거리두기 인원 제한을 무시한 채 송년회를 즐기는 경우도 많다. 한 숙박업소 주인은 “체크인 시에는 따로 룸을 잡기 때문에 이를 확인할 수가 없다. 체크아웃 후 확인해보면 술병, 음식물 등 숙박 인원을 초과한 인원이 함께 파티를 즐긴 흔적이 나온다. 하지만 객실 사용 중에는 일일이 확인할 수 없어 마땅히 제재할 방법이 없다”며 난감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앞서 언급한 글 게시자의 남편처럼, 호텔이나 리조트 대신 홈파티를 하는 경우도 있다. 홈파티의 경우 발열체크, 방역패스 확인이 어렵고 지인들끼리 모임을 하면서 마스크를 벗는 경우도 흔해 코로나 감염에 매우 취약하다. 지인들끼리라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무증상자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12월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직장인 150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올해 연말 송년회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송년회에 갈 것’이라는 응답자가 46.2%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송년회 계획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도 35.9%로 많았고, 17.9%는 ‘송년회 모두 취소했다’고 답해, 과반수의 직장인이 올해 송년모임을 갖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송년 모임의 장소는 ‘일반음식점’이나 ‘집에서 홈파티’를 계획하는 직장인이 많았다. ‘일반음식점’을 꼽은 직장인이 64.8%(응답률)로 가장 많았으나, 이어 ‘우리집이나 친구의 집에서 홈파티’라 답한 직장인도 40.5%로 다음으로 많았다. 다음으로는 ▲호텔/파티룸(24.4%) ▲뷔페/프랜차이즈 레스토랑(19.2%) 순으로 응답자가 많았다.

관련태그
송년회 신년회 장소  송년회 인사말  호텔 송년회  코로나 증상  연말 장소 추천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