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구⁄ 2022.08.17 15:35:38
17일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 소식을 일본 언론들이 앞다퉈 보도한 가운데, 특히 한일(韓日) 관계 개선 여부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이날 연합뉴스는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 개선에 강한 의욕을 보였다”는 현지 언론의 반응을 전했다.
먼저, 교도통신(共同通信)은 “윤 대통령이 ‘역대 최악의 일본과의 관계 역시, 빠르게 회복하고 발전시켜나가고 있다’고 강조하며 다시 한번 관계 개선에 강한 의욕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마이니치신문(每日新聞)는 “윤 대통령이 ‘양국이 미래 지향적인 협력관계를 강화할 때 양보와 이해를 통해서 과거사 문제가 더 원만하고 빠르게 해결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 측의 협력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는 또 일본 언론이 일제 강제노역 피해자 배상문제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일본이 우려하는 주권 문제의 충돌 없이 해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며 한국 정부의 해결 방향에 주목했다고 보도했다.
현지 NHK는 윤 대통령이 “일본이 우려하는 주권 문제의 충돌 없이 채권자들이 보상받을 수 있는 방안을 지금 깊이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며,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이 매각되는 ‘현금화’ 이전에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자세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日本經濟新聞)도 “윤 대통령이 일본과의 외교 대립을 피하면서 보상을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며 “일본 기업의 자산 현금화를 피하고 기업 등이 출자하는 기금이나 한국 정부가 배상을 대신하는 ‘대위변제’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마이니치신문도 “윤 대통령이 패소한 일본 기업의 자산 현금화에 따른 실질적인 피해가 나지 않는 조치를 준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일본 언론은 지난 15일에도 윤 대통령 취임 후 첫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한일 관계 개선에 강한 의욕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언급하지 않은 점을 주목했다.
교도통신은 “윤 대통령이 ‘일본은 이제, 세계시민의 자유를 위협하는 도전에 맞서 함께 힘을 합쳐 나아가야 하는 이웃’이라고 말하면서 역사 문제도 해결 가능하다며 조속한 관계 개선에 의욕을 보였다”고 기사화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의 포괄적 미래상을 제시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계승해 한일 관계를 빠르게 회복하고 발전시키겠다’고 말하면서 양국 정부와 국민의 협력 확대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NHK는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가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양국의 미래와 시대적 사명을 향해 나아갈 때 과거사 문제도 제대로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지만, 태평양전쟁 중 징용 문제나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読売新聞)은 윤 대통령이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해 언급을 자제한 것을 두고 “(한국 정부가) 해결 방안 마련에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