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건물 붕괴 수준의 초강력 태풍 '힌남노', 9월 6일이 최대 고비

최대 풍속 53m/s의 '매우 강' 상태로 한반도로 북진 전망

  •  

cnbnews 김예은⁄ 2022.09.02 10:53:10

제 11호 태풍 힌남노의 예상 경로. 사진=기상청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의 예상 경로가 우리나라에 가까워지는 쪽으로 조정되며 제주도와 남해안 중심으로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강풍과 풍랑의 유의가 필요하다.

힌남노는 '초강력 태풍(최대풍속 54m/s 이상)'의 세력을 유지한 채 9월 2일 03시 타이완 타이페이 남동쪽 580km 부근 해상을 지났다.

 

태풍의 강도 분류. 사진=기상청


현재 힌남노는 건물이 붕괴될 수준의 초강력의 강도로 타이페이 해상을 지나고 있다. 태풍의 강도는 중심부근의 최대풍속(10분 평균)에 따라 '약-중-강-매우 강-초강력' 등 5단계로 분류되는데, 최대풍속 53m/s의 매우 강 상태는 사람이나 커다란 돌이 날라갈 정도의 강도를, 최대풍속 54m/s 이상의 초강력 상태는 건물 붕괴 수준의 강도를 나타낸다.

기상청이 2일 오전 04시에 발표한 예보에 따르면 힌남노는 '초강력 태풍(최대풍속 54m/s 이상)'으로 3일 오후 3시 타이베이 동남동쪽 360㎞ 부근 해상에 이른 뒤 북진을 시작해 오는 6일 오전 3시 강도가 '매우 강(최대풍속 53m/s)'인 상태에서 제주 서귀포 남동쪽 60㎞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

직전인 1일 오후 10시 발표에 비해 내륙에 더 근접한 경로로 변화되며 주의가 요구된다.

힌남노는 '매우 강'인 상태로 6일 오전 3시 서귀포에 진입한 뒤 한반도를 지나며 오는 7일 오전 3시 강도가 ‘강’인 상태로 둔화되며 독도 북동쪽 약 320km 부근 해상으로 빠져나갈 전망이다.

한반도는 오늘부터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 안에 들기 시작해 오는 6일에는 최대풍속 53m/s 인 힌남노 태풍의 영향을 집중적으로 받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는 가운데 2일 오전 제주 서귀포항에 어선들이 대피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제주도와 전남 남해안, 경남권 해안은 오늘부터 강하고 많은 비가 예상되며, 강풍·풍랑·너울의 주의가 필요하다. 2일과 3일부터 제주도는 평균 100~200mm의 강수량을 보이며, 많은 곳은 300mm 이상 집중될 전망이다. 전남남해안과 경남권해안도 50~100mm의 강수량이 예상된다.

오늘 중부지방(강원영동 제외)은 가끔 구름이 많으며,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흐릴 것으로 관측되며 내일부터는 전국이 대체로 흐릴 전망이다.

 

기상청은 힌남노의 변동성이 크고, 한반도 상륙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예상 진로를 주시하고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

관련태그
문화경제  태풍  힌남노  날씨  강수량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