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용산 안 뚫렸다’던 군, 열흘만에 “대통령실 반경 3.7km 비행금지구역 뚫려” 시인

비행경로 재분석 결과를 4일 대통령실에 보고

  •  

cnbnews 최영태⁄ 2023.01.05 10:18:35

28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공개된 합참이 국방위에 제출한 북한 무인기 식별 경로 관련 자료. (사진=국회 국방위원회 제공)

지난달 26일 서울에 침투한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인근 상공까지 비행하지 않았다고 강력히 부인했던 군 당국이 뒤늦게 일부 진입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5일 군에 따르면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김승겸 합참의장 등 군 수뇌부는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북한 무인기 대응책을 보고한 자리에서 북한 무인기 1대가 비행금지구역(P-73)에 진입한 바 있다고 보고했다.

P-73은 용산 대통령실과 국방부 청사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3.7㎞ 구역으로, 용산뿐 아니라 서초·동작·중구 일부를 포함한다.

지난달 26일 김포와 파주 사이 한강 중립 수역을 통해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 1대는 한강을 따라 서울로 들어온 뒤 1시간가량 서울 상공을 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대통령 경호를 위해 설정된 서울 중심부 핵심지역까지 들어온 것이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북한 무인기의 서울 진입 당시 상황을 초 단위로 재분석한 결과 P-73 침범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다만 P-73을 스치듯 지나간 수준이고, 용산이나 대통령실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분석됐다”고 전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4일 오전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오전 회의에서 합동 드론부대 창설 및 스텔스 무인기 연내 개발을 지시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주변까지 침투했다는 분석은 사태 초기부터 제기됐으나, 군은 무인기가 ‘서울 북부’ 지역에서만 비행했다고 일관되게 주장했다.

합참은 P-73 진입도 부인한 바 있다. 지난달 29일 출입기자단 문자 메시지 공지로 “적 무인기는 비행금지구역(P-73)을 침범하지 않았다”고 명시했고 이어진 정례 브리핑에서는 이와 관련해 “사실이 아닌 근거 없는 이야기에 강한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

관련태그
무인기  용산 비행금지구역  P-73  드론부대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