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전자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 출장 기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비즈니스 미팅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 하락으로 어려움에 처한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손잡고 자율주행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시장으로 영역을 개척하는 것 아니냐는 예측을 낳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 10일 미국 실리콘밸리의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미래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삼성전자가 밝혔다.
1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10일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머스크 CEO와 만났다.
이 자리에는 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사장),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장(사장), 한진만 삼성전자 미주총괄(DSA) 부사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칸 부디라지 테슬라 부사장, 앤드루 바글리노 테슬라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이 함께 했다.
참석자들의 면면으로 보나, 이 회장이 머스크와 별도의 미팅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 등이 눈길을 끈다.
삼성과 테슬라는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공동 개발을 비롯해 차세대 IT 기술 개발을 위한 교류를 활발히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 CEO는 세계 최대의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뿐 아니라 차세대 위성통신(스타링크), 우주탐사(스페이스X), 차세대 모빌리티(하이퍼루프), 인공지능(뉴럴링크·오픈AI) 등 첨단기술 분야의 혁신 기업들을 이끌고 있다.
이번 면담을 계기로 삼성의 전장용 시스템 반도체 영토가 더욱 확대될지도 관심사다.
삼성전자는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생산 경험을 토대로 자율주행 카메라와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모빌아이’의 고성능 반도체 위탁 생산 주문을 따내는 등 전장 반도체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인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 리서치앤드마켓 등에 따르면 전장 반도체를 포함한 글로벌 전장 부품 시장은 내년 4천억 달러(약 520조 원)에서 2028년 7천억 달러(약 910조 원) 규모로 4년만에 1.75배 성장할 전망이다.
이 회장은 역대 최장인 22일간의 미국 출장을 마치고 지난 12일 귀국했다. 이번 출장 기간 중 그는 엔비디아 창업자 젠슨 황 CEO를 포함해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 차세대 기술을 개발 중인 글로벌 기업의 CEO 20여 명을 두루 만났다고 삼성전자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