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시중 통화량 3830조 원… 석 달 연속 증가세

한은, 8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 “가계자금 유입·기업자금 유치 노력에 정기 예·적금 증가”

  •  

cnbnews 한원석⁄ 2023.10.17 15:31:49

서울 시내 한 건물 앞에 시중은행 ATM기가 늘어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8월 국내 통화량이 3830조 원에 근접하며 석 달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월 대비 증가세는 한풀 꺽였지만 2021년 12월(+13.2%) 이후 지속돼 온 통화량 증가세 둔화 움직임이 주춤하는 모양새다.

17일 한국은행(한은)이 발표한 ‘2023년 8월 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8월 중 광의통화(M2)는 전월 대비 8조8000억 원(0.2%) 증가한 3829조6000억 원(평잔·계열조정기준)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5월 이후 3개월 연속 오름세가 이어진 것으로, 1년 전보다 2.2% 늘어난 수치다.

금융상품별로는 정기 예‧적금이 7조7000억 원, 시장형상품이 4조3000억 원 증가했지만, 금전신탁(-2조9000억 원)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2조6000억 원)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경제주체별로는 기업(9조 원)과 기타금융기관(3조6000억 원), 기타부문(1조6000억 원)은 늘어났으나, 가계 및 비영리단체(2000억 원)는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정기 예·적금은 가계자금 유입과 일부 은행의 적극적 기업자금 유치 등으로 증가했고, 시장형상품도 올해 4분기 중 고금리 예·적금의 만기 도래 등을 앞두고 금융기관의 자금조달 수요와 함께 늘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시중 통화량’이라고 부르는 광의통화(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현금이나 다름없는 개념인 협의통화(M1)에 만기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CMA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까지 포함한 개념이다.

한편 6월 중 협의통화(M1·평잔)는 결제성 예금이 줄어든 영향으로 1186조`000억 원으로 7월보다 2조8000억 원(-0.2%) 감소했다.

광의통화에 만기 2년 이상 정기예적금 및 금융채 등을 포함한 금융기관유동성(Lf·평잔)은 5245조7000억 원으로 전달과 비슷한 규모를 나타냈다. 금융기관 유동성에 유동성 금융상품을 더한 광의유동성(L·말잔)은 6626조1000억 원으로 전월보다 3조4000억 원(0.1%) 늘어났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관련태그
시중 통화량  3830조 원  3개월 연속 증가  정기 예·적금  시장형 상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