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노동진 수협 회장 1호 공약 ‘복합점포’ 닻 올렸다

금융권 최초 은행-상호금융 한 점포에 입점… 고객 편익 증진‧소규모 조합 수익원 창출 ‘두 마리 토끼’ 겨냥

  •  

cnbnews 한원석⁄ 2023.11.09 17:27:32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지난 8일 서울 송파구 수협본부청사에서 열린 ‘상호금융 복합점포 개설 기념식’에서 회원 조합 간의 균형있는 발전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

수협중앙회가 회원조합 상호금융(제2금융)이 수도권에 소재한 수협은행(제1금융) 지점에서 영업할 수 있도록 한 ‘복합점포’를 출범시켰다.

수협중앙회는 이와 같은 형태의 ‘상호금융 복합점포’를 설립하고 지난 8일 서울 송파구 수협중앙회 본부에서 이를 기념하기 위한 행사를 열었다고 9일 밝혔다.

복합점포는 수협은행 영업점 공간 일부에 조합이 입점해 있는 영업점 내 영업점 형태다. 고객에게 1·2금융권의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설한 것으로 금융권 최초 시도다. 특히 지방에 거점을 둔 조합의 대출 영업 채널이 수도권으로 넓어짐으로써 신규 수익을 창출하는 통로로 활용될 전망이다.

수협은 서울에 소재한 수협은행 을지로‧창동역‧교대역 금융센터 3곳에 회원조합 2~4개가 입점하는 형태의 복합점포를 열고 지난달 영업을 개시했다. 을지로에는 강원고성군·태안남부·전남동부·하동군수협, 창동역에는 마산·거제·사천수협, 교대역에는 양양군·영덕북부수협이 각각 입점해 있다.

고객이 한 공간에서 은행과 상호금융 대출상품을 다양하게 상담받을 수 있어 금융소비자의 편익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수협 측은 밝혔다.

통상 신용도와 대출한도 등에 따라 1금융인 은행과 2금융인 상호금융을 이용하는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복합점포는 대출 영업적인 측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동안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수도권 진출이 힘들었던 소규모 조합도 복합점포를 통해 영업기반을 늘려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셈이다.

수협중앙회가 이번 복합점포 입점 조합을 선정할 때도 수도권에 영업점이 없는 곳을 최우선순위로 뒀다. 이는 한정된 자원을 재정적인 측면에서 조금 더 어려운 조합에 배분함으로써 조합 간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겠다는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의 1호 공약이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노동진 회장은 이날 기념식에서 “중앙회의 설립목적은 조합을 더욱 잘 살게 하는 데 있고, 복합점포 역시 조합의 경영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됐다”며 “내년에도 회원조합의 경영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밝혔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관련태그
수협중앙회  노동진 회장  복합점포  1호 공약  조합 수익원 창출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