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시중 통화량 4개월 연속 증가세… 전달보다 18조 증가한 3847조 원

한은, 9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 “ETF·저축성 예금 등에 자금 유입”

  •  

cnbnews 한원석⁄ 2023.11.14 16:41:47

서울 중구 한국은행 모습. 사진=연합뉴스

올해 9월 시중 통화량이 3850조 원에 근접하며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증가세가 다시 늘어나면서 통화량 증가세 둔화 움직임이 주춤하는 모양새다.

14일 한국은행(한은)이 발표한 ‘2023년 9월 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9월 중 광의통화(M2)는 전월 대비 18조 원(0.5%) 증가한 3847조6000억 원(평잔·계열조정기준)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5월 이후 4개월 연속 오름세로, 1년 전보다 2.5% 늘어난 규모다.

금융상품별로는 수익증권이 9조4000억 원, MMF(머니마켓펀드) 8조1000억 원 등이 증가했찌만, 요구불예금(-5조2000억 원)과 금전신탁(-3조6000억 원) 등이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16조9000억 원)와 기타금융기관(6조 원)이 늘어났으나, 기업(1000억 원)과 기타부문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시중 통화량’이라고 부르는 광의통화(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현금이나 다름없는 개념인 협의통화(M1)에 만기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CMA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까지 포함한 개념이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증권의 경우 금리연동형 ETF 등 파생형펀드와 채권형펀드를 중심으로 늘었다”면서 “MMF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의 경우 주식시장 관망세와 금리상승 기대 등과 함께 늘어난 투자 대기 자금이 유입되면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9월 중 협의통화(M1·평잔)는 요구불 예금이 줄어든 영향으로 1184조9000억 원으로 8월보다 1조2000억 원(-0.1%) 감소했다.

광의통화에 만기 2년 이상 정기예적금 및 금융채 등을 포함한 금융기관유동성(Lf·평잔)은 5262조3000억 원으로 전달보다 16조5000억 원(0.3%) 증가했다. 금융기관 유동성에 유동성 금융상품을 더한 광의유동성(L·말잔)은 6621조9000억 원으로 전월보다 11조2000억 원(-0.2%) 감소했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관련태그
9월 시중 통화량  4개월 연속 증가  한국은행  금리연동형 ETF  저축성 예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