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건설이 자체 개발한 바이오가스화(化) 기술이 정부의 유기성 폐자원 활용 정책에 발맞춰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회사 측이 19일 밝혔다.
그동안 가축분뇨나 음식물쓰레기 같은 유기성 폐자원 대부분은 처리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가 큰 단순 퇴비 또는 사료로 활용됐다. 그러나 금호건설의 바이오가스화 기술인 ‘KH-ABC’를 거치면 유기성 폐자원이 신재생에너지로 새롭게 탄생한다.
정부는 기존에 버려지던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화 사업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바이오가스법)’을 공포하고 이달 31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금호건설의 ‘KH-ABC’ 기술을 확대·적용할 시장 크기도 점점 커지는 상황이다.
‘바이오가스법’이 시행되면 2026년까지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해 연간 5억㎥의 바이오가스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바이오가스법을 공포하고 바이오가스 의무 생산 목표율을 설정한 만큼, 전국적으로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가 급격히 늘 것으로 전망된다.
금호건설은 이 같은 정부의 정책에 앞서 바이오가스화 기술 상용화에 성공한 바 있다. 2019년 8월 국내 최초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인 ‘서산시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시설’을 시작으로 지난 8월에는 ‘제주시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을 준공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지난 6일에는 ‘파주시 환경순환센터 현대화사업’을 착공했다. 이에 따라 노후화된 유기성 폐자원 처리시설을 철거하고 하루 처리 용량 160t 규모의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로 다시 태어난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금호건설 기술이 적용된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소식을 들은 전국 지자체 담당자들의 문의·견학이 잇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