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작가 조사-연구-비평’ 사업 출판물 공개

한국 현대미술 작가 29명 소개 출판물 87종 제작 및 열람 서비스 제공

  •  

cnbnews 김금영⁄ 2024.05.20 13:56:26

‘작가 조사-연구-비평’ 열람부스와 조영주 작가.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예술위)는 2022년부터 추진해온 ‘작가 조사-연구-비평’ 지원사업의 결과로 29명 작가에 대한 연구·비평집을 공개하고 온/오프라인 열람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작가 조사-연구-비평’ 지원 사업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할 수 있거나 높은 성장 가능성을 지닌 국내 작가에 대한 국영문 비평집 제작, 배포를 지원했다. 2022년 공모를 통해 ‘올해의 작가상(국립현대미술관 주관/SBS문화재단 후원)’ 수상 및 베니스 비엔날레 참여작가 등 이미 국제적으로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거나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29명의 한국 작가를 선정했다.

29명의 작가를 위해 지난 2년간 총 350여 명의 미술사가, 비평가, 아키비스트, 번역가 등이 참여했고 그 중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런던서펜타인 관장), 야콥 파브리시우스(2024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공동 예술감독) 등 해외 유수 미술관 관계자 및 주요 비평가 46명이 해외필진으로 대거 참여했다.

결과물은 작가당 3종의 전자책을 기본으로 작가의 기초 소개를 담은 ‘리플렛’과 ‘브로슈어’, 그리고 상세한 작품 아카이브 및 모든 연구 자료를 담은 ‘카탈로그’로 구성돼 작가의 작품 세계를 다양한 층위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29명의 작가에 대해 총 87종의 출판물이 제작됐다.

국영문‘리플렛’과 ‘브로슈어’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소속기관인 아르코미술관 홈페이지와 아르코예술기록원의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DA-Arts) 및 해외 아카이브 기관인 홍콩 AAA(Asia Art Archive)에서 온라인으로 열람이 가능하며, ‘카탈로그’는 아르코예술기록원(예술의전당 2층 열람실) 및 아르코미술관(대학로) 2층 아카이브 자료실 방문을 통해 열람이 가능하다. 또한 2023년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파이널리스트였던 전소정 작가 및 다발킴, 고승현 작가 등 일부 작가의 카탈로그는 교보문고와 yes24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특히 아르코예술기록원에는 ‘작가 조사-연구-비평’ 사업 참여작가인 조영주 작가의 작품 ‘휴먼카르텐’을 모티브로 한 열람 부스가 제작, 설치됐다. 부스에는 결과물을 열람할 수 있는 전자패드와 실물책 출판을 마친 5팀의 단행본도 함께 비치된다.

또한 아르코 예술기록원에서는 이번 열람 서비스를 통해 ‘이달의작가’ 큐레이션 코너를 병치해 ‘작가 조사-연구-비평’ 사업의 연구대상 작가와 관련된 아르코예술기록원의 소장기록물을 함께 소개했다. 실물과 디지털 자료를 포함한 약 1008건의 자료를 작가별로 소개하며, 저서 외에도 개인전, 단체전 도록, 작품영상, 전시 홍보물, 기사, 육필원고 등 1980년대부터 최근 기록물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자료목록은 추후 아르코예술기록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되며, 기록물은 사전예약 후, 도서와 디지털 원문은 아르코예술기록원 열람실 방문 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참여작가 중 극사실주의 대가 고영훈은 이번 출판물에 관해 “다른 작가들의 디지털화된 작품들을 보고 있자니 ‘나도 더 젊어져야 하겠다’는 생각도 들고, 또 미래 만큼이나 과거가 중요하기 때문에 아카이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고 말했다. 올해의 작가상(2021) 수상 작가인 최찬숙은 “(작가의) 작업을 정리한다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과정인데 그 정리들을 스스로 하기에는 쉽지 않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이 과정을 시작할 수 있었고, 내 작업이 어떻게 생산되고 보일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고 소회를 밝혔다.

최성임 작가팀의 강은미 총괄기획자는 “출간하는 전자책을 가지고 비슷한 주제에 관심을 가진 작가와 기획자와 함께 아시아 혹은 국제적 무대에서 알릴 수 있도록 하려고 계획 중”이라고 추후 계획을 밝혔다.

< 문화경제 김금영 기자 >

관련태그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정병국  유인촌  현대미술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